d라이브러리
"연구진"(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도 생각할까!?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수 있다. 심지어 꿀벌에게 그들의 언어로 말을 걸 수도 있다.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연구진은 몇년 전 작은 꿀벌 로봇을 만들어 벌통 안에 넣고 컴퓨터로 조정해 춤을 추게 했다. 그리곤 춤으로 알려준 장소에 가서 기다렸더니 벌들이 그곳으로 날아왔다는 것이다.우리가 꿀벌에게 말을 건 ...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십자화과 게놈 국제컨소시엄에 참여한 충남대 식물자원학부 임용표 교수팀 등 국내 연구진들은 배추를 대상으로 게놈 분석 연구가 한창이다.지난해 식물로서는 최초로 게놈 지도가 밝혀진 애기장대가 속하는 십자화과 식물에는 배추, 양배추, 유채 등 많은 유용한 채소류가 속해 있다.이 컨소시엄은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훨씬 쉬워질 것이다. 자가조립에 대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서울대 연구진은 결함이 있는 기판에 자성원자인 코발트를 증착해, 그 결함 주위에만 물질이 성장해 아주 작은 나노구조를 만드는 자가조립 방법을 제시했다.소자 제작과 함께 개발한 소자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의 ...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라이자 미넬리’에 마커로 자국을 내는 사고가 일어났다. 또다시 산소 원자총과 NASA의 연구진이 출동했고, 영화배우 라이자 미넬리를 모델로 한 이 그림 역시 무사히 복원됐다.몇번의 성공 사례에 자신을 얻은 NASA의 연구팀은 한걸음 더 나아가 양초와 횃불에 오랜 기간 그을린 고대 이집트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연구소에서 주목받고 있는 연구는 초기의 연구진형과는 다르게 그 수가 늘어나고 있는 진보적 인터페이스 연구그룹이다. 현재 절반 이상의 연구그룹들이 ‘비트, 아톰, 그리고 사람’이란 주제로 새로운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상호작용 테크닉을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힘이 작용해 전기가 많이 흐를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계산해 미국 버클리대 연구진에게 넘겨줬고 실험그룹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가 만들어졌어요.” 사실 1년 전에 네덜란드의 데커박사 그룹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크기가 너무 커 ...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수출 시장까지도 미리 확보할 수 있었다.유산균 시한폭탄, 단백질 코팅법쎌바이오텍의 연구진이 한국인 유산균 분리와 함께 매달린 것은 유산균 코팅법이다. 유산균 제품의 개발에서 유산균이 위산에 녹지 않고 안전하게 장에 도달하게 만드는 일은 가장 중요한 공정이기 때문에 이 기술을 ... ...
- 도시 남성이 사망 위험 62% 더 높아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있는 기회와 장치가 부족해 압박이 더 가중된다.왜 남성에게만 이런 현상이 나타났을까. 연구진은 이에 대한 확실한 해답을 얻지 못했지만 여성에 비해 남성이 도시환경에 더 많이 노출되고, 집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더 많아, 그만큼 각종 스트레스 유발 인자에 접하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으로 ...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과학동아 l2000년 12호
- 8년 '벼 게놈을 연구하는 국제컨소시엄' (IRGSP,International Rice Genome Sequencing Project)에 국내의 연구진이 참여하면서 우리의 주곡작물인 벼의 연구에 동참하게 됐다.한편 지난 9월 세계 10여개국이 참여한 '국제 배추과 게놈 컨소시엄'(Brassica Genome Consortium)이 결성됐는데,이 ...
- 세계 최초로 불규칙한 원자배열 결정 합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불규칙해도 결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 밝혀내, 원자배열이 일정해야 결정이 만들어진다는 기존 이론을 뒤엎었다.KAIST 화학과 유룡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메조다공성 실리카(산화규소) 물질을 결정형태로 합성하고, 원자배열이 불규칙적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