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인류 최초의 이식 수술은 61년 전인 1954년에 이뤄졌다. 미국의 외과의사 조셉 머레이가
유전자
가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 사이의 신장 이식을 성공한 것이다. 1962년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신장 이식 수술을 성공했다. 머레이는 그 공로로 199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시간이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트레드밀(런닝머신)로 운동했다). 그리고 이틀 후 정상 쥐와 UCP-1을 만들 수 없는
유전자
조작 쥐의 사타구니 쪽 백색지방에서 UCP-1의 양을 확인했다. 그 결과 UCP-1의 양은 정상 쥐가 최대 10배 높았다. 운동으로 UCP-1을 만드는 갈색지방이나 베이지색지방을 늘릴 수 있다는 의미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크리스퍼를 이용한 연구는 유전병을 정복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태아의
유전자
를 조작하는 일 등은 생명윤리에 어긋나므로 무조건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생명과학자 16명과 미래 생명과학자 1000명의 토론행사에 참석한 학생들의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정해진 질문 시간이 끝난 뒤에도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내놓아요. 연구팀은 아미노산 대신 플라스틱의 원료인 ‘숙신산’을 만들도록
유전자
조작을 했어요.그리고 한쪽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먹고 자라는 미세조류를 길러냈어요. 미세조류를 먹고 사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빨리 성장시켜서, 더 많은 숙신산을 만들어내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배양하면 잎 하나로 몇 달 사이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식물
유전자
변형과 조직배양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형성능 활용 연구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고, 새롭게 전형성능을 유도했다고 밝혀진 식물도 늘지 않고 있다. 이제는 그 원리를 이해해야 할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산성화(운동을 오래 못하게 하는 원인)를 초래하는 DNA를 ‘끄고’, 염증을 치료하는
유전자
는 ‘켠다’(2파트 참조). 영채 씨와 영은 씨처럼 성격이 달라도 DNA 사용법이 바뀌고 후대에 전달되기도 한다.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아버지가 홀로코스트 당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경우 그 자식도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단원이라면 비암호화 RNA는 오케스트라를 총괄하는 지휘자다. 가령 CEBPA라는
유전자
에서 전사되는 lncRNA는 DNA를 메틸화시키는 DNA 메틸전달효소를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RNA를 조절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런 비암호화 RNA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면 메틸화나 히스톤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되는 행동을 해도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우리가 아는 것은 내가 나쁜 행동을 한 게
유전자
에 기록되고 그것이 전달될지 모른다는 가능성뿐이다.최 : 좋은 연구인데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다. 항상 조심해야 되는 것 아닌가.노 : 너무 신경 쓰며 걱정하는 게 오히려 더 안 좋을 것이다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암은
유전자
전체 수준에서 메틸화를 감소시키지만 CpG 섬의 메틸화 비율은 높여 정상
유전자
의 전사를 막는다. 현재 후성유전학자들은 이런 비정상적인 세포의 활동과 CpG 섬의 관계, CpG 섬의 메틸화에 따른 전사요소의 반응 등을 연구하고 있다.여섯 번째 염기를 찾아서메틸화는 현재까지 발견된 ... ...
삼시세끼 맛있는 쌀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밝혔다. 텁텁한 쌀은 밥맛을 해칠 뿐 아니라 잘 부서져 작물가치가 떨어진다.GL7
유전자
의 특이한 점은 다른 품종에 넣어도 생산량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도에서 인기있는 쌀인 바스마티 품종은 맛이 좋아진 대신 생산량이 14%나 줄었는데, 이와 대비된다. 연구팀은 “어떤 계열의 쌀에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