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건"(으)로 총 4,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서로 가진 카드의 수를 세서 카드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이 우승하게 됩니다.그렇다면 조건에 맞는 카드 3장, 세트란 무엇일까요? 속성이 모두 같거나 모두 다른 카드 3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 3장이 모두 빨간색 다이아몬드이고, 개수가 각각 1개, 2개, 3개, 여기에 속이 채워진 것이 1장, 속이 빈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를 더 친밀하게 평가했다. 반면 자연스러움과 지루함을 생각한 참가자는 객관적인 조건이 비슷한 이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줬다. 혼자서 외롭게 포켓몬을 즐기던 덕후 역시 자신과 취향이 비슷한 친구를 만나는 즐거움 때문에 포켓몬 고에 더욱 빠져들었을지 모른다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뿐만 아니라 방안에도 무한히 많은 손님이 묵고 있어야 합니다. 양자화된 각운동량이 이 조건을 만족하려면 무한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로 양자수를무한대로 채워야겠죠. 무한대의 에너지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불가능합니다. 연구팀은 1~3 까지의 양자수로 실험했습니다.양자수가 줄어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규칙은 세 가지 변수가 들어가는 일종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이타성이 진화하는 조건을 깔끔하게 알려준다. 워털루 기차역의 대기실 의자에 앉아 외로움과 우울증에 시달리며 복잡한 수식을 노트에 채우던 나날은 마침내 보상을 받았다. 물론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회적 요소와 같은 다양한 환경이 시차에 영향을 미칩니다. 해외로 가면 대부분의 조건들이 변하기 때문에 빠르게 컨디션을 회복할 방법이 필요합니다.아 낮밤이 바뀌어 있으니 혹시 한국에서 저녁형 인간이었다면 유리하지 않을까요?(의기양양) 해 아침형, 저녁형과 같은 생활패턴, 잠자는 ...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빨간색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1부터 7824까지의 수를 이 조건에 맞게 나타냈습니다.또 1부터 7825까지 나타내는 것은 경우의 수만 102300개가 넘어가기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사실도 증명해냈습니다. 미국 텍사스대 첨단 컴퓨팅 센터에 있는 ‘스탬피드 슈퍼컴퓨터’ ... ...
- [수학동아클리닉] 부풀린 육팔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정다각형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다른 입체도형은 없을까?정다면체는 아니지만 정다면체 조건의 일부를 만족하는 입체도형이 있다. 바로 ‘준정다면체’다. 준정다면체는 두 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을 이용해 각 모서리에 모인 면의 배치가 같도록 만든 입체도형을 말한다. 축구공 모양과 같은 깎은 ...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습니다.NCAR에서 개발한 기상 및 기후 예보 모델, 자료동화 시스템, 관측 자료는 대부분 조건 없이 무상으로 공개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전세계 수천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NCAR 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받고 예보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 한국 기상청에서도 몇 년 전까지 현업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DGIST 총장님이 함께 연구를 해보자는 제안을 하셨습니다. 게다가 거부할 수 없을 만큼 조건도 좋았죠(웃음).” DGIST로 옮긴 직후에는 기초 과학연구원(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장에 선임되는 겹경사도 났다.새로운 곳에 둥지를 튼 지 4년, 남 펠로우는 준비를 끝냈다. 식물을 기르는 것부터 유전자를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라면에 얽힌 속설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했다. 물의 양, 조리 시간 등 다른 조건을 모두 같게 하고 스프와 면을 넣는 순서만 다르게 해서 라면을 끓였다. 그 결과 스프를 먼저 넣은 라면이 맛있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그런데 스프를 빨리 넣으면 끓는점이 높아지고 면발이 상대적으로 덜 익어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