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망
원오
불평
책임
d라이브러리
"
탓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화산활동이 다시 일어나며 용암이 뿜어 나오기 시작했다. 이때 용암은 물 속에서 분출된
탓
에 바닷물에 의해 급격히 식고 깨지며 베개용암과 유리쇄설암을 만들었다. 그 결과 독도해산 위에 수중화산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현재 섬으로 남아있는 독도 탄생의 순간이었던 것이다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상관없는 불필요한 부분을 지우는데 이 기술이 쓰였다. 촬영장이 도심 가까이 있었던
탓
에 아파트와 산이 보였던 것. 제작팀은 1950년대 종로와 평양 거리에 어울리지 않는 배경들을 모두 지웠다.CG영상과 실영상을 합성하는 기술은 ‘스타워즈 에피소드’ 시리즈와 ‘쥬라기 공원’에서 성공을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들어오는 스팸메일 때문이다. 평소 인터넷 서핑과 게시판 글쓰기를 너무 좋아했던
탓
일까. 지우고 지워도 계속해서 쌓이는 스팸메일은 좀처럼 끊이지 않는다.얼마 전에는 음란 스팸에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무심코 얼굴이 화끈해지는 사진이 담긴 음란 메일을 열었던 것. 그것도 남자 동료들이 모인 ... ...
만물의 원리와 기원을 알려주는 howstuffworks.com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꽃씨를 뿌리려고 땅을 파다 깜짝 놀라며 만나는 동물이 있다. 바로 지렁이. 생김새
탓
일까.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가 정겨운 반면 지렁이는 징그럽기만 하다. 그러나 지렁이는 토양에 구멍을 파 공기와 물이 잘 통하고 스미게 해 자연 활동을 돕는다. 특히 유기물이 적거나 산성이 강한 흙을 좋은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실 산 위에 오랫동안 머물며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일은 산의 높이와 건조한 기후
탓
에 결코 쉽지 않다. 아무리 연구여건이 좋다지만 운영 인력을 해외에 장기 상주시키는 것도 만만치 않은 문제다. 이 때문에 현지에 망원경 설치를 결정했을 때부터 무인원격운영체계 도입이 검토됐다.망원경뿐만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과연 오늘날 현대인들이 직면한 건강의 위기가 지방
탓
일까?최근 연구결과,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없으며 오히려 지방은 현대인의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라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다만 다양한 형태의 지방을 균형있게 적당량 섭취하는게 중요하다.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에 피해를 주며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이런
탓
에 한국(Korea)을 뜻하는 학명(Pinus koraiensis)으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고 있는 잣나무도 벌겋게 말라죽는 경우가 자주 눈에 띄고 있다. 물불 안 가리는 산림재해 한편 기후변화는 자연재해의 증가로도 산림생태계에 악영향을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하는 일은 자신의 휴대폰으로 밤새 도착한 메일을 확인하는 일. 급한 요청을 받고 출발한
탓
에 노트북을 미처 가져오지 못했다. 뉴스사이트에 접속해 필요한 뉴스를 검색한다. 휴대폰 버튼을 눌러 몇가지 소식을 저장한 그녀는 아침 일찍 잡혀있는 미팅에 참석키 위해 서둘러 호텔을 빠져 나온다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잦은 비
탓
에 농민들을 시름에 잠기게 했던 수확철이 지나갔다. 요즘에는 수확철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던 허수아비를 보기 힘들어졌다. 벼이삭을 먹으러 오는 참새를 쫓기 위해 씌운 밀짚모자도 마찬가지다.이런 아쉬움을 달래주려는지 지난 10월 2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밀짚모자를 닮은 천체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완성될 즈음 생물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양자역학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된
탓
에 DNA의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일이 어렵지 않았다.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하던 텍사스대에서는 노벨 화학상(1977년)을 수상한 물리학자 프리고진을 만나 생명현상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었다. 프리고진은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