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핵심"(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오경훈 그럼 어떤 과목을 주로 배우나요?이관중 기계를 어떻게 만드느냐가 학문의 핵심입니다. 4대역학(유체역학, 고체역학, 열역학, 동역학)과 함께 설계와 제어, 그리고 구조에 대해 배웁니다. 1학년 때는 수학이나 물리 등 기본적인 과학을 익힌 다음, 2학년 때 기계공학과 항공공학으로 진로를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꽉 차기 때문에 지금 보고 있는 영상이 내가 있는 현실처럼 느껴지게 되지요.헤드셋에는 핵심 부품이 하나 더 들어 있어요. 바로 머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 앞을 똑바로 보고 있을 때를 0°라고 가정해 봐요. 만약 머리를 들거나 고개를 돌리면 해당 방향으로 각도가 바뀌겠죠? 센서는 이 각도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서다. 지느러미와 손이 같은 유전자에서 기원했다는 게 핵심이다. 원시 어류 일부가 진화해 육상 동물이 됐다는 진화 시나리오는 한층 힘을 얻었다. 닐 슈빈(위 사진)이라는 고생물학자가 있다. 미국 시카고대 교수로, 고생대에 살았던 ‘틱타알릭’이라는 생물의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시스템을 도입했다.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기술연구실장은 “WSB 시스템의 핵심은 순환”이라며 “배가 들어오고 나갈 때마다 이용되는 물을 따로 저장해 계절 의존도를 낮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필요도 없었겠지. 그냥 기록하면 되니까.’그렇다. 완전히 봉인되어 있는 그 체중계의 핵심부품은, 배터리보다 조금 더 중요한 외계기술이란, 바로 타임머신이었다. 일방통행만 가능한 타임머신. 지구인도 모두 시간여행을 한다. 다만 미래 방면으로만 천천히 갈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 기계는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현상을 발견했다. 이는 대사물질의 양적 변화가 줄기세포 분화 상태와 시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윤 교수는 “대사물질 조절이 암과 퇴행성 질환 등의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얼마나 될까? 분명히 여러분은 그 가능성이 적어도 0.7%보다는 높다고답하리라. 이것이 핵심이다. 만약 전세계 총인구에서 한국인의 비율이 70%라고 해도, 여러분은 A씨의 이웃이 한국인일 가능성은 70%보다 더 높다고 답할 것이다. 각 나라 사람들은 동포끼리 한 곳에 모여 사는경향이 있다. 즉, A씨가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 이런 변화를 반영해 UNIST는 올해 경영공학부를 신설했다. 경영의 핵심인 데이터를 연구하는 신생학부의 젊은 피, 이창용 UNIST 경영공학부 교수를 만나봤다. 새로운 상품을 만들거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것은 모든 기업의 숙명이다. 하지만 전세계 기업들 사이에서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리고 말싸움 도중 뼛속까지 공대생인 한주연의 머릿속 알고리즘이 등장한다. 여기서 핵심은 디버깅!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오류를 찾는 작업이다. 이 컷에 코딩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수많은 공대생이 한주연의 알고리즘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댓글을 달아놨으니 궁금하면 이 컷에 달린 댓글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실용적인 비례식과 비례배분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향상입니다.전체를 정해진 비로 배분하는 것을 비례배분이라고 합니다. 비례배분의 핵심은 정해진 비의 전항과 후항의 합을 분모로 하는 분수의 비로 고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24개의 사과를 3:5의 비로 2개의 상자에 나누어 담으려고 할 때 간혹 학생들은 3:5만 보고 24에 3/5을 곱하기도 합니다. 이런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