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27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근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라는 뉴스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소식은 단순히 꿀벌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달콤한 꿀을 더 이상 먹지 못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넘어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다. 꿀벌은 꽃샘식물(밀원식물)로부터 먹이자원인 꽃가루와 꽃꿀을 얻 ... ...
"한국 연구자들, 과대포장·허황 없어...논문 투고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의 수잔 존스 편집장은 13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기조강연이 끝난 후 가진 인터뷰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주=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한국 연구자들은 타 국가 연구자 대비 논문 제출 때 연구를 과대포장하거나 허황된 얘기를 덜 합 ... ...
"양귀비 대신 효모로 아편 진통제 만들어...합성생물학, 인류 건강 플랫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크리스티나 스몰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13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합성생물학은 인류 건강 증진과 지구 지속가능성을 높여주는 최적의 플랫폼입니다.” 크리스티나 스몰케 미국 스 ... ...
[논문감시] 데이터 오류 논문 2편, 철회에 1년 걸린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게티이미지뱅크 고관수 성균관대 기초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2건이 지난 1월 철회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유는 실험결과 오류다. 제3자가 2022년 1월 이같은 오류를 제보하며 철회가 결정된 가운데 제보 1년 후에야 철회가 결정된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11일 리트랙션워치에 따르면 ... ...
사슬처럼 이어진 구멍들...'다누리'가 찍어 보낸 달 뒷면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다누리의 고해상도카메라로 슈뢰딩거 계곡을 촬영한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긴 계곡 같은 형태의 지형에 여러 개의 구멍이 줄지어 늘어져 있다. 구멍들이 사슬처럼 이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두창(천연두)바이러스. 위키미디어 제공 ● 역사 해석이 달라지는 여러 사례들 황산벌에서 신라군과 맞서 싸운 계백의 백제군은 백제에게는 충신이지만 신라에게는 반드시 쳐부수어야 하는 적군이었다. 단종에게는 사육신이 목숨을 건 충신이지만 세조에게 사육신은 죽이지 않으면 두고두고 ... ...
고래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그린란드 해안에서 포착된 참고래. 위키피디아 제공 고래는 5% 가량이 암으로 죽는다. 반면 인간은 암으로 목숨을 잃는 비율이 11~25%에 이른다. 이런 차이는 왜 발생할까. 과학자들은 비밀을 풀기 위해 ‘생어 동물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알렉스 케이건 영국 웰 ... ...
[씨즈더퓨처] 아들과 딸 골라 낳을 수 있다면
2023.04.09
최근 아들, 딸을 골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이 논문으로 나왔다. 씨즈 영상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씨즈 유튜브 캡처 ‘만약 아들과 딸 중에 고를 수 있다면…’ 이 오래된 소망에 꽤 확실한 답을 주는 연구가 최근 나왔다. 3월 22일 지안피에로 팔레르모 미국 웨일코넬의대 교수팀이 아이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오늘도 지문으로 스마트폰 잠금 화면을 해제하셨나요. 지문은 사람마다 달라 암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런 지문은 어떤 이유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걸까요? 지문의 정체와 무궁무진한 활용까지 모두 알아봤습니다.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김재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CI & KAIST 교수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 공군과학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때의 김 교수(오른쪽에서 2번째). 김재경 제공 Q. 수학교육을 전공했는데, 수리생물학자가 된 계기가 뭔가요. "대학 졸업 후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