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의실험
가상
인공
시뮬
시뮬레이터
에뮬레이터
모의훈련
뉴스
"
시뮬레이션
"(으)로 총 1,29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 지진 뒤 여진, AI가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유명해진 AI 기술인 심층신경망에 넣어 학습시켰다. 그 뒤 인공지진 3만 건을 일으키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이 AI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여진이 일어나는 장소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29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지진이 처음 일어난 장소를 중심으로 ... ...
로봇이 일할 땐, 불개미처럼
과학동아
l
2018.08.29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을 통해 일부 불개미가 돌아가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모든 불개미가 공평하게 일하는 것보다 약 3배가량 더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연구팀은 로봇 여러 대가 일을 수행할 때 ... ...
재미 한국과학자 핵융합 난제 ‘토카막의 딜레마’ 해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실용화의 문턱을 넘지 못한 이유다. 백 연구원 팀은 관측 결과를 토대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을 통해 이런 성능 저하 현상의 원인이 토카막 장지 바깥 경계 부분에서의 마이크로파 전력 손실 때문이라는 점을 입증했다. 특히 장치 내 총 전류를 증가시키면 경계 플라스마의 난류를 줄일 수 있다는 ... ...
강속구로 승부하라! 메이저리그 선발투수 100명 투구 빅데이터 분석
2018.08.24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각 선수의 출전기회를 비슷하게 조정해
시뮬레이션
하면, 평균보다 조금 더 잘하는 선수들은 계속 나오지만 아주 뛰어난 스타 선수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이승엽 선수 - 뉴시스 제공 아시아의 홈런왕 이승엽 같은 스타를 키울 수 있는 비결을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거대 로봇의 원조… 철인 28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4
일본 고베 지역에 설치된 철인 28호 동상. 철인 28호가 국민적으로 얼마나 큰 인기를 얻고 있는지 알 수 있다. -FeelKobe+ “이 로봇은 이름이 뭐야?” “로봇? 어떻게 이걸 어떻게 ... 모습을 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2007년 개봉했던 극장판 애니메이션 ‘철인28호 - 백주의
시뮬레이션
’, ... ...
연료전지 실용화 최대 걸림돌 ‘스트론튬 석출’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때문에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정 교수팀은 100여 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을 통한 자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론튬 석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했다. 그 결과 스트론튬 원소가 다른 원소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 연료전지를 만드는 합금 내부에서 자리를 잡지 ... ...
[영재교육원 탐방] 숨어있는 다양한 가능성 찾는다,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수학동아
l
2018.08.20
않고 아이들의 바른 성장에 신경을 쓰며 커리큘럼을 만들고 있습니다.” 자연선택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자연선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을 탐구한다. -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제공 황 박사는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만의 또 다른 특징으로 자체 도서관을 꼽았다. 자체 도서관은 ... ...
“폭염, 4년 더 이어질 수 있다” 프랑스 연구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확률보다는 폭염이 찾아올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에 완성한
시뮬레이션
기술 덕분에 1998년 이후 지구 평균기온 및 평균 해수면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 ...
[여기에 과학] 인도네시아 롬복섬 강진...불의 고리는 영원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누구도 확언할 수 없습니다. 미국 예일대 지구물리학과 로스미첼 교수팀은 지난 2016년
시뮬레이션
을 통해 약 5000만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해 자리에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 대륙이 합쳐진 ‘아마시아’가 생성될 것이며, 이후 2억년이 더 흐르면 유럽과 아프리카도 다시 붙어 새로운 초대륙이 생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가시 물질의 절반가량이 필라멘트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우주망을 보여주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다. - 위키피디아 제공 은하간공간은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필라멘트 영역조차 물질의 농도가 희박해 여기서 나오는 신호를 직접 포착할 수 없다. 따라서 가시 물질 가운데 상당 부분이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