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스페셜
"
과학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기립 완료 "날씨 변수 없다"…21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발사대로 돌아온 것이다. 계획대로면 누리호는 21일 오후 4시 다시 2차 발사에 도전한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누리호가 오전 7시 20분 무인특수이동차량에 실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 제2발사대까지 약 1시간에 걸쳐 이송됐다고 밝혔다. ... ...
전세계 강타한 때이른 ‘폭염’...3월 남북극 이상고온이 '전조'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에너지 소비가 온실가스 배출을 가속화하는 악순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과학
자들은 결국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급격하게 줄이는 것만이 기후 재앙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발생하는 폭염 현상은 지구가 산업화 이전보다 평균기온이 약 1.2도 더 따뜻해지면서 ... ...
누리호 보완 마치고 발사대로 이송 후 기립 작업...21일 날씨 또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발사대로 돌아온 것이다. 계획대로면 누리호는 21일 오후 4시 다시 2차 발사에 도전한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누리호가 오전 7시 20분 무인특수이동차량에 실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 제2발사대까지 약 1시간에 걸쳐 이송됐다고 밝혔다.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김지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재료
과학
및 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13일(현지시간)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중국 칭화대 등과 공동으로 AI 칩 속에 다양한 모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광통신 AI 칩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했다. AI칩은 영상과 음성 인식처럼 한 ... ...
이산화탄소 지하암반에 묻어도 '이 조건'이면 지진 유발 가능성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국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K-CCUS) 추진단장을 맡고 있는 권이균 공주대 지질환경
과학
과 교수는 “국내에서도 3~4년 안에 이산화탄소의 지하암반에 저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인공지진을 포함해 비롯한 다방면의 안전성 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화재 위험뿐 아니라 멸종위기의 조류에게 치명적 위협이 된다는 점을 더 우려했다. 이란
과학
자들은 2018년 이란에서 감전사한 조류 235마리 중 15%가 초원 수리와 이집트 독수리 같은 보호 대상 종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영국 버밍엄대 그레이엄 마틴 교수는 “독수리나 그와 유사하게 날개가 크고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학자들 "인간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호주 파크스 전파망원경에서 측정된 외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됐던 신호는 실험 결과
과학
자들이 점심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서 전자레인지를 여닫을 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 ...
[프리미엄리포트]자율주행로봇 도입하면 배달비 내려갈까
과학동아
l
2022.06.19
배달보다는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DB ※관련기사
과학
동아 6월호, [엣지 사이언스]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 적응에 나선 북극곰 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북극곰들이 그 위에서 사냥하지는 않는다. 크리스틴 레이드 미국 워싱턴대 수산
과학
대 교수는 “그린란드 북동부 지역은 금세기 말 현재의 남동부 지역과 같이 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남동부 지역의 북극곰들이 그린란드 전체 북극곰들이 미래에 어떻게 지낼지 엿볼 기회를 제공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해발 6400m 높이까지 적응하며 자라기도 한다. 마이클 홀스워스 영국 노팅엄대 생명
과학
부 교수 연구팀은 15일 식물이 극한 고도에 적응하기 위해 산소의 대기 중 비율을 나타내는 부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적응했다고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1일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됐다.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