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핼리관측에 매우 고전하였다. 특히 둘째날은 핼리관측 가능시간인 해질무렵부터 8시까지
눈
이 내리다가 핼리가 지평선 아래로 사라지자 날씨가 맑아져 관측자들을 안타깝게 하였다. 마지막날 밤, 겨우 핼리를 천체망원경(16㎝)에 포착했으나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은 경우 20여분에 불과했다.이때의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는 것이다.복사냉각현상(Albedo)이란 냉기가
눈
이나 얼음에 부딛쳤다가 반사될 때
눈
이나 얼음의 냉기가 더 증가되어 반사되는 것으로 복사열과 반대되는 의미다.강원대 이종범교수(환경학)는 '춘천지방의 인공호에 의한 안개및 구름 양의 변화'라는 논문을 한국기상학회에 보고했다.이 연구보고서는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氷蝕地形)이 남아있고 지금도 겨울에는 정상부에
눈
이 쌓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눈
을 이용하여 하와이에서 스키를 즐길수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마우아케아는 분화가 언제쯤 있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고 앞으로도 분화가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 섬의 서북부를 ... ...
고엽제(枯葉劑)살포, 그이후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없다. 상공에서 미군의 정찰기가 아무리 휘젓고 다녔어도 대규모의 월맹군 이동을 전혀
눈
치채지 못했으니 말이다. 베트남 전쟁사상 최대 격전지였던 '닥토'에 종군했을 때, 한 미군장교가 내뱉은 푸념이 이를 반증한다. "적이 보여야 싸움을 하죠"베트남 전쟁이 끝난 지도 어언 11년. 우리군과 ... ...
VDT방지 편광필터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컴퓨터 화면을 들여다볼 경우 화면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강한 빛으로
눈
에 무리가 와
눈
이 충혈되고 두통까지 동반하는 안질환이다. 미국의 마이크로웨이브뉴스라는 전문지의 보도에 따르면 '시어즈로박' 회사에서 임신중이던 VDT작업자 대부분이 유산하고 뉴욕 타임즈사에서는 VDT 작업에 종사하던 ... ...
'컴덱스'에서 활약한 아시아의 복병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에서 열렸다. 이번에는 특별히 놀랄만한 것은 없었지만 몇 가지 분명한 경향이
눈
에 띄었다. 컴퓨터 태평양 건너 아시아에서 만들어진 IBM-PC/AT의 복제품들이 상당수 여기저기 자리잡고 있었다. 복제품들의 출력, 스피드, 넓은 사용도 그리고 저렴한 가격은 IBM-PC의 기본형뿐만 아니라 그 복제품의 ... ...
파인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만일 우리가 원자의 크기로 변신하여 세라믹스 내에 잠입할 수 있다면 그 이유를 직접
눈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자기의 기본성분인 알루미노규산염은 산소, 규소, 알루미늄의 세가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규산염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둥근 공모양의 산소원자로서 이들 둥근 공이 한 ... ...
모형으로 재현된 50만년 전의 생활상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주먹도끼 등이 있었는데 기술은 아직 서툴러서 석기의 날이 꼬불꼬불하다.큰 석기도
눈
에 띄어 덩치가 큰 동물도 사냥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유물들은 연세대학교 선사연구실에 보관돼있다. 우리가 현재가지 과학교재로 사용했던 것은 금발의 네안데르탈인이나 크로마뇽인들의 생활모습.이번 ... ...
20세기의 위험 평범한 사고가 무섭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포괄적 느낌에서 나온것이다. '피시호프'는 말한다. "보통 사람들이 과학자를 회의적인
눈
으로 본다면 아마 그들은 과학자들이 알지 못하는 그 무엇을 알고 있을것이다."과학자는 민중의 그 막연한 감정과 태도에서 배울점이 있다는것을 배워야겠다 ... ...
'과학동아' 로고타입 제작노트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조건을 말하며, 그러한 가독성에는 생리적인 면과 심리적이 면이 있다. 생리적인 면은
눈
으로 빨리 익히고 식별이 용이해야 한다는 점이다. 역설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못 생기고 울퉁불퉁한 사람은 식별과 기억에 용이하다. 즉 글자의 변별점이 확실해지면 그만큼 생리적인 가독성에 도움이 된다는 ... ...
이전
956
957
958
959
960
961
9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