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07
정작 삶의 질과 관련되는 기술 개발에는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돈 안되는’ 기술에
연구
비 투자가 이뤄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이번 10대 웰빙 기술을 선정하면서 진정한 웰빙이란 과연 어떤 것인지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지려고 한다. 무조건적인 성장이 아닌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춘 과학기술에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07
하지만 비싼 만큼 제값을 하고 시장이 커지면 가격은 내려갈 것이다.■ 현재 어떤
연구
를 하고 있는가?노인이나 장애자에게 도움을 줄 스마트 의류를 개발 중이다. 옷을 입으면 움직이는 동안 일어나는 신체 반응이 자연스럽게 측정돼 이를 건강관리에 이용하게 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각기 다른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07
무접촉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도 국내외
연구
기관에서 시도되고 있다.생체신호
연구
의 상당 부분은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황이다. 미래에는 이를 좀더 응용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등장해 웰빙시대를 이끌어 나갈 것으로 전망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07
높일 수 있는 음향 패턴을 개발해 이를 학생들의 공부방이나 교실에 틀어주는 방법도
연구
될 수 있다. 특히 수많은 소음성 난청환자를 양산하던 산업현장은 이런 소음제거기술과 음질개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쾌적한 작업환경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소음이 듣기 좋은 화음으로 들릴 때가 올 ... ...
토종 검색엔진 달고 훨훨 나는 NHN
과학동아
l
200407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히는 기업이 두 곳 있다. 인터넷의 라이벌인 ‘네이버’와 ‘다음’이다.NHN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는 몇년 전까 ... 지난해 정보검색 대가들이 많이 포진하고 있는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에 현지
연구
소를 만들어 공동
연구
도 진행 중이다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07
있음을 발견했다.성운과 성단이 함께 존재하는 매우 복잡한 형태인 M16은 천문학적으로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학자들을 매료시켜 왔다. 어떤 천문학자들은 독수리성운을 여왕별 성운이라고 부른다. 이 성운에 이런 별칭이 붙은 이유는 성운 내부에 있는 암흑성운이 흡사 의자같이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07
소화작용을 돕고, 자연의 순환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로 다른 생물체가 투쟁을 하지 않고도 친밀한 관계로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알게 해줬고, 이는 곧 공존을 중요하게 여기는 21세기의 새로운 생명모델의 바탕이 되고 있다. 티스푼 하나만큼의 ... ...
공동실험
연구
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07
전주 분소와 고성군 낙도의 초등학교를 연결해 원격실험체험을 시범 운영한 경험이 있다.
연구
원측은 올해 몇차례 시범운영을 거쳐 원격실험체험을 내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
과학동아
l
200407
있는 물리학전문
연구
정보센터 icpr.or.kr 물리학전문
연구
정보센터는 국내·외 물리학관련
연구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다. 국내의 석사 이상의 모든 물리학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전공에 따른 검색도 가능하다. 즉 물리학의 특정 분야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각종 학술지와 논문 등을 이용할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06
해양생물종의 90%, 육상생물종의 80%가 사라져 규모가 가장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번
연구
결과는 페름기 대멸종이 현재의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생한 수천년에 걸친 대규모 화산활동과 그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이었다는 지금까지의 멸종이론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미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 ...
이전
962
963
964
965
966
967
968
969
9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