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후"(으)로 총 12,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메이커교육 현장]① 가르치기보다 같이 참여하는 어른2018.06.06
- EDU 참가 후 지식 콘텐츠 스타트업 퍼블리에서 2년 연속 리포트를 발간해 호응을 얻었다. 이후 교육기술을 융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설계와 강의 경험을 거쳐 현재 메이커 교육 전문 기업 메이커스에서 메이커교육연구소를 이끌며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 ...
- [출동!기자단] 백두산호랑이를 만나다!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06.05
- 발자국 크기를 비교해 보는 모습.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1호 제공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에서는 호랑이를 더는 찾아볼 수 없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호랑이가 살던 숲을 재현하고, 여기에 백두산 호랑이를 풀어놓은 덕분에 이렇게 지금 눈으로 볼 수 있게 됐다. 책에서만 보던 호랑이를 ... ...
- MS, 깃허브를 살릴 것인가 망칠 것인가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6.05
- 깃허브를 인수한 것이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사티아 나델라 CEO 부임 이후 클라우드 기업으로 바뀌었으며, 이 과정에서 오픈소스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친구가 됐다. 코드플렉스라는 유사 서비스를 하기도 했지만, 2017년 이 서비스를 접고 깃허브 활용을 촉진해왔다. 깃허브에는 800 ... ...
- [WWDC 2018]① 애플이 가장 공들인 iOS12... 내 습관까지 최적화2018.06.05
- 기억하고 있다가 커피숍에 도착하면 아예 앱의 일부를 띄우고 주문할 것인지만 묻는다. 이후의 주문과 결제 등은 이용자가 손을 대지 않아도 된다. 애플은 이 숏컷 API를 서드파티 앱에도 열어서 여러가지 앱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캘리포니아 산호세 = 최호섭 기자 몇 가지 명령을 ... ...
- 아리안 6 발사체 조립 현장 가 보니..., 비용은 줄이고 성능은 높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06.04
- 아리안스페이스 제공 우선, 아리안 5의 발사체는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조립되고 있었다. 이후 배에 실려 조립시설 옆에 있는 센느강을 따라 남미의 프랑스령 기아나에 위치한 쿠루 우주센터로 옮겨져 하나의 발사체로 완성된다. 이때 발사체는 배 위에 싣기 위해 조립한 발사체를 수평으로 눕히는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전쟁은 인간의 본성? 2018.06.03
- 장소에도 전쟁의 증거가 전혀 없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사실 전쟁은 문명이 시작된 이후, ‘발명’된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신석기 혁명, 농업 생산력 확대와 정주 생활, 경제적 불평등과 계급 사회의 시작, 자원과 영토를 둘러싼 갈등, 전쟁의 시작…… 대략 이런 식의 도식입니다. 자연 속에 ... ...
- [사이언스 지식IN] 일상 속 ‘라돈’ 피해 줄이려면 첫째도, 둘째도 ‘환기’2018.06.03
- 시작한 것은 1998년 5월 장마로 인해 7호선 공릉역이 침수된 뒤, 라돈이 고농도로 검출된 이후입니다. 지하철에 라돈이 많이 분포해 있는 직접적 이유는 토양에 있는 라돈 기체가 녹아들어간 지하수입니다. 또 외부의 힘으로 지각이 갈라진 ‘단층’이 있는 지역의 경우, 단층 사이로 대량의 라돈 ... ...
- [테마영화] 언제까지 나올까?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시리즈 영화 BEST 32018.06.02
- 전편에 이어 10년 만에 제작된 7편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는 전 세계 20억 달러 흥행, 이후 작품인 8편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와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역시 개봉만 해도 편당 10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엄청난 상품이기 때문이다. 시리즈의 창시자 조지 루카스의 뒤를 이어 이제는 ... ...
- [여기에 과학] 해가 진 다음 왜 바로 어두워지지 않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6.01
- 시민 박명이, 20시 59분까지 항해박명이 이어집니다. 천문 박명이 완료된 21시 41분 이후부터 태양의 영향이 없는 밤이 찾아올 예정입니다. 한국의 주요도시별 박명시간은 한국천문연구원이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두시고요(astro.kasi.re.kr:444/life/pageView/6). 이를 알아두면 ... ...
- 북한 과학논문 실적 좋아진 거 맞나...깜깜이 논란에 답답한 연구자들동아사이언스 l2018.06.01
-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최대 논문 20편을 냈다는 의미다. 이는 북한이 2014년 이후 연간 80편 내외의 논문을 발표하며 양적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고 보도한 4월 30일 학술지 네이처 기사나, 2016년 한 해에만 논문 106편을 발표했다고 조사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연구 결과와는 ... ...
이전9639649659669679689699709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