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XIST’라는 RNA를 만들어 암컷의 경우 그 유전자 발현
정도
를 억제하며 수컷의 경우 발현
정도
를 촉진시켜 암수의 유전자 용량을 맞추고 있다.아기 업그레이드 위한 임신 식단표메틸기와 아세틸기 등 후성학의 구성 요소들은 DNA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회로소자(回路素子)가 전기신호의 파장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범위에 걸쳐 공간적이며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회로 레헤르선을 포함하는 전송선 등의 도선은 고주파에서는 인펙턴스·용랭 또는 저항)의 작용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분포상수회로로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그러면서도 현재의 top-down 방식에 비해 제조공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비용이 1/10
정도
밖에 들지 않는다.하지만 이 유기분자 소자가 당장 실용화되기는 어렵다. 실제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동작하려면 여러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우선 이 소자에 충분한 전압과 전류를 흘려줄 수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수 있을까. 여기에는 상반되는 두 원리가 적용된다. 찬 안개처럼 안개입자를 비가 될
정도
로 키우거나 반대로 보이지 않게 증발시켜 버리는 것이다.안개입자를 키우는 방법은 인공강우에서 흡습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다만 인공강우와는 달리 짧은 시간 내에 안개를 제거하기 위해서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해야 하는지에 대해 윤리적, 종교적, 법적 문제가 야기된다. 또 결합쌍생아가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는 분리 수술에 대한 두 아이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 즉 한 아이는 분리되고 싶어하지만 다른 아이는 수술을 원하지 않는다면 부모나 의료진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최근에는 의학의 발달로 분리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혈관조직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홍채가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은 10억분의 1
정도
다. 같은 사람에서도 왼쪽과 오른쪽 눈의 홍채가 다르고, 심지어는 일란성쌍둥이일지라도 홍채가 같을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홍채 관찰해 마약복용 판별이와 같은 홍채의 특성을 정확하게 읽으면 개인을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난 1999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안동 하회마을을 찾은 적이 있다. 이때 여왕은 방한을 기념하는 의미로 하회마을의 ... 있다. 나방의 날개를 잡고 더듬이를 살펴보면 미세한 털들로 인해 폭신한 깃털이 연상될
정도
로멋진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 ...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쪽 금속이 더 많이 팽창해 길어지므로 금속 띠 전체가 휘어진다. 열에 의해 팽창하는
정도
가 다른 두 금속을 연결한 띠를 바이메탈이라고 한다. 실험에서 만든 바이메탈은 알루미늄과 철을 이용한 것이다. 가열하면 알루미늄이 철보다 약 2배 더 늘어난다. 따라서 알루미늄이 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 ...
짠맛 신맛 가려내는 전자혀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해 포도주를 선택했다. 포도주는 맛을 판별하는 일을 하는 소뮬리에라는 직업이 있을
정도
로 맛으로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포도주 맛보는 실험에는 서로 다른 포도 품종으로 만들어진 백포도주 3종과 적포도주 3종이 사용됐다.실험결과 전자혀는 백포도주와 적포도주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은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여름 무더위를 가르며 소나기가 퍼붓는 소리다. 소나기 소리의 정체는 지름 5-8mm
정도
의 빗방울이 대지와 부딪히면서 발생한 공기의 진동이 초속 3백40m의 속도로 우리 귀로 날아오는 것이다. 그러나 소나기 소리는 과학적인 분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감성을 사람에게 선사한다. 소나기 소리에서 ... ...
이전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
9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