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
수학동아
l
201605
알아냈어요. 반죽이 적당히 걸쭉하기 때문에 수분이 잘 빠져나가 구멍도 작게 뚫리고,
가장
자리도 타지 않고 바삭하게 구워졌어요.팬케이크 실험으로 녹내장 예방하기?!재미있는 사실은 연구팀이 녹내장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이 실험을 했다는 점이에요. 팬케이크 반죽에서 수분이 날아가는 ... ...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605
올해로 18회를 맞는 이 대회는 올해부터 고등학생까지 참가 대상이 확대됐다.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통계포스터’를 제작해 참여한다는 점이다. 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해보며 통계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창의력과 탐구심도 길러준다.통계포스터 너~어? 정체가 뭐야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05
기수법’과 60진법을 사용했다.마야 문명의 수학과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과 0을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했다.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 ...
[과학뉴스] 미국지진학회지(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과학동아
l
201605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척도를
가장
많이 쓴다.두 척도는 모두 1930년대 미국지진학회지를 통해 발표됐다. 여기엔 아픈 사연이 있다. 1906년 4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 최소 3000명이 사망하고 도시의 80%가 ... ...
[과학뉴스] 돼지 심장 품은 원숭이, 2년 생존 기록
과학동아
l
201605
4월 5일 발표했다. 이전까지 최장 기록은 250일에 불과했다.이종 간에 장기를 옮길 경우
가장
큰 문제는 면역 거부 반응이다. 초기 연구에서는 장기를 이식 받은 원숭이가 몇 분을 버티지 못하고 죽었다.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를 없앤 돼지의 장기를 이식하더라도 몇 개월을 버티지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
과학동아
l
201605
스타샷(Breakthrough Starshot)’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역사상
가장
가벼운 우주선을 만들어 우리은하에서 4.37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까지 20년 안에 도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얇고 넓은 막에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을 붙인 ‘우주 돛단배’ 형태의 우주선,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
과학동아
l
201605
이를 ‘유전자 조립(gene assembly)’이라고 부른다.조립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건 효모를 이용한 방법이다. 벤터 박사 역시 효모를 이용해 유전자를 연결했다. 방 교수는 “화학적 합성에서 발생하는 오류율을 줄이는 연구가 진일보한다면 짧은 시간 안에 저렴한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05
카츠 교수의 혈액인 것만 같다. ➊번은 2009년 에두니아를 전시한 모습이다. 합성생물의
가장
큰 경쟁자는 농부?사노피는 합성효모를 이용해 아르테미시닌을 상용화한 제약회사다. 이들은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에서 6400만 달러(약 726억 원)를 지원받아 2014년부터 반합성 아르테미시닌(SSA)을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05
부패 물질들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가 시신이 부패하는 전 과정을 통틀어 냄새가
가장
심한 시기다. 부패 물질이 퍼져나간 시체 주변 영역을 시체부패섬(cadaver decomposition island)이라고 부른다. 부패 물질의 영향으로 이 부분의 풀들이 말라 죽기 때문에 눈으로도 그 경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05
신뢰성이 있거든요. 외국에선 물리나 화학 분야에서 활성화된 과학자 커뮤니티 사이트가
가장
먼저 나왔다고 해요. 자신의 논리를 펼치고, 깊이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이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