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1,623건 검색되었습니다.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04
1차원을 더 더한 11차원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11차원의 시공간에서는 작은 끈 대신 ‘
막
’(membrane)이라는 평면이 등장한다. 위튼의 이론은 ‘M이론’이라 불린다.M이론은 지금까지 많은 문제를 해결했지만 우주의 모든 비밀과 신비가 완전히 밝혀지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설사 많은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
막
과학동아
l
200303
폐수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은
막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
막
기술을 통한 나노소재기술은 환경보존과 개발이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03
생산에도 유용하다 주물가공이나 기계가공 도중에 버려지는 쇳가루, 쇳밥 등의 손실을
막
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전기 컴퓨터 등의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로 엄밀하게 정의된 전문용어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회로의 요소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 반도체소자를 떼어내면 ...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
과학동아
l
200303
요구가 기초연구를 하는 학계와 연구계에서 잘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마지
막
으로 서 단장은 정부가 지원하는 소재 관련연구가 그리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나노소재와 관련된 큰 규모의 사업으로는 사업단 외에‘나노핵심기술개발사업’이 있다. 이 사업에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03
엘니뇨 기간이 연속됨을 보여준다핵이나 세포기관이 없고 비교적 단순한 원형질
막
구조를 가진 생물 박테리아나 청록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단순 이분법으로 다음 세대가 형성되므로 세대간 또는 개체간 변이나 생물군 내 다양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핵을 비롯한 여러 세포기관들을 구비한 생물 ... ...
NASA '아기우주' 사진 공개
과학동아
l
200303
막
태어났을 때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지난 2월 11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이제까지 찍은 사진 가운데 가장 선명한 우주의 ‘아기사진’을 공개했다. 2001년 6월에 발사된 NASA의 탐사선(WMAP)이 12개월 동안 찍은 이 사진은 우주가 태어난지 38만년밖에 지나지 않았을 때의 모습을 담았다. 사람이라면 ... ...
2. 포탄 공격에도 끄떡없는 고성능 장갑차
과학동아
l
200303
후
막
코팅 기술에 포함된다.고강도 코팅을 위해 나노기술을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후
막
코팅 기술로는 용사코팅이 있다. 용사코팅은 금속, 세라믹, 서메트(금속과 세라믹의 혼합재)를 미세한 분말이나 가는 선으로 제조한 후 고온의 열에 의해 가열하거나 녹인 다음 고압가스로 불어 급속 냉각시켜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3
드러난 두개의 생식기가 있고, 암놈의 뱃속에는 두개의 태보, 즉 태아를 싸고 있는
막
과 태반이 있다. 각각의 태보 속에는 4-5개의 태가 들어있다. 이 태가 성숙하면 새끼가 태어난다. 태보 속의 새끼상어는 가슴 아래쪽에 하나의 알을 달고 있으며, 그 크기는 수세미 열매만하다. 알이 없어지면서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02
귀 뼈, 큰 눈을 통해 예리한 청력과 시력을 갖고 있었다고 추측된다. 또한 어미의 몸에서
막
태어나는 어린 개체가 그대로 화석이 돼 발견됨으로써 태생이었음(새끼를 낳았음)을 알 수 있다.최초의 새 시조새(Archaeopteryx)1억5천만년 전(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최초의 새로서 현생 조류와 같은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02
1959년 이후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해 우리의 사고를 지배했던 무작위 네트워크의 이론은
막
을 내리고 새로운 척도없는 네트워크라는 이론이 탄생한 것이다.불균일한 척도없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다음호에서는 척도없는 네트워크들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그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