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3 평균수명 120세 실현눈앞에
과학동아
l
199502
존슨박사의 지렁이 실험의 성과가 여기 해당된다. 이들은 노화결정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
함으로써 인간의 노화도 막을 수 있다는 신념으로 노화의 주범인 유해 산소의 발생원인에 관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미국 서던 메소디스트대학의 소할 교수(생물학)는 유전자를 조작한 특수파리 실험을 통해 ... ...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
과학동아
l
199502
이들은 암
억제
유전자의 작용이 노화유전자의 작용과 공통된다는 점에서 노화유전자가 암
억제
유전자들 중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유력시하고 있다.비록 노화유전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유전자 차원에서 노화현상을 해명하는 실마리는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학자들은 노화유전자가 ... ...
김치·된장, 암 예방에 큰 효과
과학동아
l
199501
데친 후에 먹는다.김치에 사용하는 마늘은 유산균 이외의 다른 유해세균이 자라는 것을
억제
한다. 고춧가루에는 황곡균을 잘 자라게 하는 요소가 있다. 김치에는 이런 요소들이 작용해 발효를 조절하며 조화된 맛과 저장성을 가지게 한다.한 가지 흥미있는 사실은 김치가 먹기 좋은 상태로 잘 익었을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01
개발은 중요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고 있는 분야. 최근 암의 발현과정에서 암유전자, 암
억제
유전자의 다단계에 걸친 이상발현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 유전자 조작에 의한 조정에 의해 암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발암기구 해명만이 아니라 유전자를 ... ...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12
정소대신 자연스럽게 난소로 분화된다. 남성은 사춘기가 될 때까지 정자세포의 형성이
억제
되는 반면 여성은 태아때부터 수백만개의 원초적인 소난포들을 갖게 된다. 이 원초적인 소난포들이 자라서 성숙한 난자세포가 되는 것이다.1980년 연구결과에 따르면 임신이 성립된 뒤 수정란의 Y 염색체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12
식물도 호르몬을 가지고 있다. 식물의 호르몬으로는 꽃눈 형성에 관여하는 플로리겐, 생장을 촉진하는 옥신 등이 대표적이다.대부분의 식물은 해마다 일정한 ... 아래쪽의 생장이 촉진되어 줄기가 위 쪽으로 굽어 자라지만 뿌리에서는 아래쪽이 생장이
억제
되어 아래 쪽으로 굽어 자란다 ... ...
국내 기술로 당료병 치료 신약개발
과학동아
l
199412
것. 체내에서 1차로 위에서 분해된 다당류를 다시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의 생성을
억제
함으로써 당류가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자연 대사되어 체외로 배출하도록 유도한다.기존 인슐린 제제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대부분 음식물 섭취 후 혈중 당농도는 빨리 증가하지만 인슐린의 혈액내 출현은 ... ...
돼지의 장기이식 연구 큰 성과
과학동아
l
199411
충분하지 않아 19시간 이상 거절반응을 피할 수는 없었다.더 긴 시간 거절반응을
억제
하기 위해서는 보체제어단백의 발현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장기의 혈관내피세포에서 직접 보체제어단백을 발현시키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혈구표면에 발현시키는 것보다 장기 자체의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11
기대되고 있다.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연구가 좀더 자세히 이루어진다면 이 G단백질을
억제
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며 세포내 신호전달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 ...
'지구 살리자' 기후협약 유명무실
과학동아
l
199411
위해 증가 추세에 있는 온실가스의 대기 중 농도를 안정시킬 목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
억제
를 위해 우선 선진국들에 대해 2000년까지 1990년 수준으로 온실 가스 배출의 감축을 의무화한 이 협약은 서명 후 국회의 비준을 얻으면 국제법상 지위를 획득 하는데, 94년 8월말 현재 90개국이 서명을 했음에도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