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 앞장서는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지역을 중심으로 탐사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총 1만 152건의 기록을 올렸지요(2018년 기준). 대원들이 모은 자료는 과학자의 연구 자료로 사용돼요. 실제로, 2014년과 2019년 대원들이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처를 발견하고 수원청개구리 보존의 중요성을 ... ...
-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미세먼지 줄이고 용돈 받으세요! 먼둥이가 시민들의 참여로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만드는 거라면, ‘서울숨’은 시민들이 좋은 소비를 하도록 권장하는 앱이에요.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적게 발생해 저탄소 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을 사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미세먼지 배출이 적은 ... ...
- 붉은 수돗물 먹어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했지요. 물감을 풀어놓은 것처럼 벌건 물이 쏟아져 나오는데 수질기준을 만족한다는 발표에 시민들은 혼란스러웠죠. 어떻게 된 걸까요?붉은 수돗물을 걸러 필터로 성분을 조사한 결과, 붉은색을 띠는 이유는 철과 망간 때문이었어요. 철은 대부분 관 벽에, 망간은 강물에 녹아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우리에겐 수돗물을 먹어본 경험이 거의 없어요. 30년 전 중금속인 카드뮴과 대장균 등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어요. 점차 시민들은 정수기를 사용하게 되었고 생수를 사먹는 집도 늘어났지요.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마음 속에 있는 거예요. 각 지자체에서 수돗물 관리를 더 철저하게 ... ...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다 팔리지 않았을 때에도 생겨요. 특히 과일이나 채소 등의 농산물은 예쁜 모양을 기준으로 팔릴 수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되기도 하는데, 그 과정에서 못생긴 농산물이 많이 버려지죠. 지구인 컴퍼니에서는 이런 점에 주목하고, 못생겨서 유통되지 못하는 농산물을 팔고 있어요. 못생긴 과일을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뜻해요. 크게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나뉘지요. 무엇을 기준으로 이 둘을 나누는 걸까요?”교수님은 1차 미세플라스틱은 처음부터 작게 만든 플라스틱 조각이고,2차 미세플라스틱은 커다란 플라스틱 조각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기는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루카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17년 기준 약 7억910만t이다. 2007년부터는 산림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아 국가통계에서도 유일한 온실가스 저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2013년 산림부문의 온실가스(이산화탄소) 흡수량은 4720만t으로 국가 전체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찾아야 하는 천문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시민들이 표시해 준 사진을 기준으로 효율적으로 왜소은하를 찾을 수 있을 거예요. 그 중에서도 우리는 우리은하처럼 두세 개의 왜소은하를 거느린 큰 은하를 찾아서 우리은하의 기원을 실험해 볼 예정이에요. 유사한 은하 여러 개를 비교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사탕이 56개 있을 때까지는 소시지 모양으로 포장하는 것이 좋고, 57개를 넘어서면 중심을 기준으로 빽빽하게 뭉쳐서 포장하는 것이 좋죠. 4차원 이상에서의 소시지 추측문제는 4차원에서부터입니다. 2, 3차원까지는 어떻게든 상상도 되고 학교에서 배운 수준으로 복잡해도 계산해볼 만했지만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년 전 기록을 담고 있는 빙하코어 시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구의 기온이 100만 년 전을 기준으로 큰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서다. 허 책임연구원은 “현재부터 100만 년 전까지는 기온이 크게 10만 년 주기로 반복됐는데, 그보다 더 과거에는 40만 년 주기로 반복된 것으로 알려져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