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진열관
자료관
미술관
뮤지엄
유적박물관
유적
d라이브러리
"
박물관
"(으)로 총 1,10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테야마 立山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전재(戰災)를 입었으나 전후에 재건 됐다.도야마 대학·천문대 및 도야마성지의 향토
박물관
등 교육 문화시설이 있고, 현립공원으로 지정된 구레하산(山)은 산정에서의 조망이 뛰어난 행락지다.그러나 도야마현은 이보다 일대의 산악지대와 함께 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다테야마(立山) 산지와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새의 깃털모양이 정확하고 분명치 않았더라면 무심히 새와 비슷한 파충류로 여기고 그냥
박물관
에 소장했을 것이다.시조새의 크기는 까치만하다. 파충류의 명확한 특징으로는 턱에 이빨을 가지고 있고 쭉 뻗은 몸에는 긴 고리가 달려 있다는 점이다. 시조새의 가슴뼈에는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 즉 ... ...
호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버린 '프로플리비아 도미니카나'라는 침없는 벌의 DNA를 채취하였다.뉴욕 자연사
박물관
소속의 곤충학자인 드살레와 그리말디, 생물학자인 휠러, 그리고 예일대학의 지질학자 존 게트지로 이루어진 팀은 2천5백만년에서 3천만년 정도에서 멸종되어버린 흰개미의 DNA를 채취하였다. 학명이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12년간이나 살았다. 그가 죽은 뒤 그의 두개골과 두개골에 박혔던 철창은 하버드 의대
박물관
에 보관되어 있다.다음은 미국 의학 전문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실린 사람의 경우다.매사추세츠 종합 병원 응급실에 만취돼 정신을 잃은 상태로 입원한 이 사진의 주인공은 단층사진 촬영 결과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러므로 바구미가 공룡의 피를 빨았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 그러나 미국자연사
박물관
의 과학자들에게 입수된 같은 시기의 호박 속 곤충 중에는 공룡의 유전자를 가진 것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 이들이 레바논 근방과 미국 뉴저지에서 모아놓은 호박 중에는 무는 진드기를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977년부터 1978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지상착륙실험을 수행했다. 현재는 은퇴해 스미소니언
박물관
에 전시돼 있다.1호 발사 4개월만에 우주등정에 나선 콜럼비아2호(81년 11월)는 비행시간을 2배 이상(1백24시간) 늘렸으며, 지구대기권 재돌입 시 고열(1천3백℃)에 견디기 위해 워터제트를 사용해 동체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방은 상가를 면한 좁은 계단을 올라 2층에 있다. 지금은 '아인슈타인 하우스'로서 작은
박물관
이 되어 있다.여기서는 아라우 주립학교 시절의 동급생이나 그 형제들이 모여 매우 지적인 독서회 '아카데미 올림피아'가 종종 열렸다. 이들은 밀레바를 안주인으로 하여 마하 흄 푸앵카레 플라톤 미르 ... ...
나일 삼각주 침강 속도 1년에 약 2.6㎜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지점에서 1백개 이상의 보링 굴착을 실시했다.여기서 채취한 샘플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의 이집트학자인 드로티어 아놀드가 감정한 결과, 그 속에서 이집트의 18대 왕조(기원전 1552년-1306년)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305년-30년)에 이르는 시기의 도기 파편이 발견됐다.이 일대는 삼각주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넓고 둥근 날개가 붙어 있으며 그 날개는 14~16cm의 넓이로 돼 있다.그들은 파리의 자연
박물관
의 종자관에서 빌려온 씨앗들을 날려보려는 심적 유혹을 물리칠 수 없었다. 그 씨앗은 평형을 잃지 않고 오랫동안 공중을 날았다. 활공전문가들은 평형을 유지하는 자세와 활공 횟수에 관해서 이야기했다.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화분마다 외래수종 소철야자 등으로 꾸며져 있던 현실을 꼬집었다. 또 지금도 고궁이나
박물관
서울대공원을 비롯한 시민공원과 녹지공단 등 조경을 필요로 하는 공사에 팬지 피튜니아 샐비아 메리골드 등 국적 불명의 외국꽃이 90%가 넘는 실정을 개탄한다."외래 식물의 침투를 막고 우리 화단에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