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CD 표면에 펼쳐진 아름다운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CD의 표면에는 아주 작은 홈이 있어요. 이 홈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요. 빛이 이 홈에서
반사
될 때에도 간섭이 일어나요. 그 결과 CD 표면에 무지개가 생긴답니다. CD 표면에 물방울을 뿌리고 이쪽 저쪽에서 빛을 비추며 관찰해 보세요. 더 멋진 무지개를 볼 수 있을 거예요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
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리듐은 약 1시간 30분 주기로 지구를 선회하는데, 태양의 반대쪽에서 태양빛을
반사
하는 각도가 제대로 맞았을 때 빛을 내므로 해가 진 직후가 아니면 잘 볼 수 없다고 한다.이 때문에 관측지역 상공으로 이리듐 위성이 지나가는 시간과 궤적을 확인해 해가 진 뒤 나타날 곳을 주시하고 있으면 ... ...
식물로 지구를 시원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통 식물보다 3~5% 햇빛을 더 많이
반사
한다는 것을 알아 냈어요. 이 식물이 햇빛을
반사
시켜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줄이면 온도를 낮출 수 있대요.현재 연구팀은 일반 콩보다 가는 털이 더 많은 콩을 개발해서 미국과 브라질 등에서 키우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위도 30~60도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경우 인두 근육이 수축하면서 일어난다.9번 뇌신경(설인신경)이 손상될 경우 구역질
반사
가 일어나지 않아 의사는 이 검사를 통해 후두덮개 기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 뇌가 손상된 환자는 후두덮개의 움직임이 불완전해 입으로 음식을 먹기 힘들다.이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쟝 도미니크 보비가 혀를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있는 건 아니다. ISS는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지구 궤도를 돌기 때문에 태양빛을 받아
반사
시킬 수 있는 초저녁과 새벽녘에 잠시 볼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밝은 빛을 내며 하늘을 가로지르던 ISS가 지구 그림자 안으로 들어가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때로는 비행기를 ISS로 착각할 수도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내고 그
반사
파를 포착하여 측정한다미국의 맥도널드 천문대에서는 1968년부터 270cm
반사
망원경을 레이저로 활용하여 거리 측정 관측을 하고 있다달 등의 전체가 수평선(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천공(天空)에 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보통 전자는 후자의 3배 이상의 크기가 되는데, 태양의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처지든가, 소장벽이 급격하게 늘어나든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소장벽의 자율신경
반사
, 소장벽의 삼투압에 의해 소화관으로 수분이 급속히 대량 이동하여 순환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일어난다 자낭균(子囊菌)에 의한 식물병의 하나 한국의 경우 경기도 이남의 온난한 지방에서 종종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가운데 하나라는 비엔나필하모닉 홀이었다. 소리가 골고루 확산될 뿐 아니라 측면
반사
음이 풍부하고 잔향시간이 최적이었다.3. 가장 애착이 가는 악기는?희귀한 악기인 바셋 클라리넷과 헝가리 민속악기인 타로가토이다. 바셋 클라리넷은 저음 쪽으로 네 개의 반음이 더 내려가는 게 특징이고, ... ...
투명 물고기 '캐스퍼'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roy orbison)과 ‘네이커’(naker)라는 제브라피시 두 종에 주목했다. 로이 오비슨은 빛을
반사
시켜 피부를 반짝거리게 하는 피부색소가 없고, 네이커는 검은색 피부색소가 없다. 이 두 종을 교배한 결과 노란색 피부색소만 지녀 몸 속이 들여다보이는 투명 제브라피시가 탄생했다. 이 제브라피시에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