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결핍이나 변형이 다양한 질병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도 수없이 발표되고 있다. 수상자들의 업적은 앞으로도 계속 관심을 받을 것이고, 향후 임상분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PART 2. 화학상 DNA가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타계하는 바람에, 이 결과를 얻는데 리더 역할을 했던 카지타 교수가 올해 노벨상을 수상하게 됐다.태양 중성미자 변신을 측정한 캐나다 국제공동연구팀코시바 교수와 함께 2002년 노벨상을 받은 데이비스 교수는 최초로 태양 중성미자를 측정했다. 그는 1968년부터 실험을 시작했는데, 이 실험에서도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있을까? 수학자들은 여럿이서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선두에 1998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 교수가 있다. 2009년말, 그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포함한 여러 수학 문제를 온라인에서 함께 풀자고 제안했다. 일명 ‘폴리매스(POLYMATH)’ 프로젝트다. 가워스 교수는 인터넷 사이트를 ... ...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모자 장수 캐릭터를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모자 장수의 생김새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수학자 버트런드 러셀과 꼭 닮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심지어 앨리스 시리즈의 삽화을 그린 존 테니얼이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러셀을 미리 예견해 그렸다는 이야기까지 나돌았다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다. 세포들의 사회학물리화학 분야 권위자인 그의 최근 연구 성과는 ‘세포가 물질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원리’에 대한 것이다. 물리학이나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삭하다고 평가했지요. 스펜스 교수는 이 연구로 2008년 이그노벨상 영양학상을 수상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맛있는 요리 비결은 ○○이다?이번에는 맛있는 요리 비결을 찾기 위해 두 팀을 만나 봤어. 바로 요리하는 실험실 모더니스트 퀴진과, 20년 경력의 요리사 양지훈 셰프야. 그런데…, 한쪽은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WSCI 참가 지원서를 작성하고 영어 면접에 통과해 한국대표단에 선정됐다.“노벨상 수상자들은 공통적으로 깊고 순수한 호기심을 갖고 자신의 연구 분야를 바라봤다고 말해요. 그러면 더 깊은 질문이 생기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연구하다 보니 노벨상까지 받게 됐다고 ... ...
- [Photo] 기후변화가 만든 미래의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진대회 ‘2015 소니 월드 포토그래피 어워드’에서 ‘개념 사진(conceptual)’ 부문 2위를 수상했다.지난 30년 동안 몽골은 천천히 사막으로 변했다. 850여 개의 호수와 2000개의 강이 말랐고 대지의 4분의 1이 모래땅이 됐다. 목초지는 6900만ha(1ha는 1만m2) 감소했고, 식물 종의 4분의 3이 사라졌다. 몽골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강조하고 싶습니다. 눈에 띄는 대회에서 수상하기 보다는, 평소 수업시간에 관심분야를 찾고 그와 연관된 학교활동에 열심히 참여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또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찾다 보면, 좋은 기회를 발견하기도 합니다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SW를 만들어 발표했다.사회문제 해결 부문에서 대상으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수상한 ‘페이보리’ 팀은 20대의 부산대 선후배 4명으로 이뤄져 있다. 그들은 편의점에서 남는 음식을 나눌 수 있는 ‘삼김구출대작전’이란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했다. 유통기한이 다가올수록 점점 가격을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