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 차단벽으로 고래목숨 건져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미국의 케이프 코드는 해변까지 완만한 경사로 이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1980년
이래
여덟마리의 파일럿고래가 해변에서 목숨을 잃었다.만약 고래의 자살극이 순전히 초음파의 혼란때문이라면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인공적으로 초음파를 되튀게 할 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포드는 해변가에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문명이 불의 발명으로 시작된
이래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통하여 수천년 동안 과학문명의 발전은 거의 정체상태에 있었다.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에 이르러서야 고도화된 기계문명이 발달되기 시작했다. 자동차 증기기관차 비행기 동력이 ... ...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중심으로 연구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1백35년 전 멘델이 유전자의 존재를 암시한
이래
유전자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인간유전자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그동안 총 5만여 유전자중 수천개가 밝혀졌다. 앞으로 게놈프로젝트가 성공리에 끝나게 된다면 10~15년 안에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박사는 지난해 9월10일 우리나라를 방문해 두차례의 강연을 마치고 돌아갔다. 그의 방문
이래
국내에서는 우주론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돼 가고 있다. 우주의 탄생 및 그 미래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호킹은 대학원시절부터 약 27년동안 몽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색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발음으로 읽으면 원음에 훨씬 가깝다. 또 재미있는 것은, 신대륙과 프톨레마이오스지도
이래
로 지도상에 표시했던 미지의 남방대륙(메가라니카라는 이름을 가진)이 나타나 있는 것이다. 메가라니카에는 이상한 동물들이 그려져 있어 그곳이 환상의 땅임을 암시하고 있다.그럼에도 8백50곳이 넘는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인류의 마지막 보물창고인 바다 개척에 새 지평을 열고 있다. 나라간의 무역이 시작된
이래
수세기 동안 엄청난 양의 재화가 바다 속에 침몰해 잠겼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깊은 바다에서 무엇을 잃어버린 것은 달에서 잃어버린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지금은 컴퓨터와 첨단 광섬유 기술로 ... ...
새 과기처장관에게 바란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일본인보다 못하지 않습니다. 이는 '인간에게는 고루 지성이 갖추어져 있다'는 데카르트
이래
의 철학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저마다의 국가, 사회에는 시대마다 고유의 무거운 칼이 씌여져 있고, 그것이 국민의 창조성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입니다.과기처장관의 사명은 하루빨리 이 칼을 벗기는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헝가리 동물학회 회장으로 북한의 곤충연구를 해 오셨고 헝가리의 북한연구가 시작된
이래
북한조사의 책임자역할을 맡아왔습니다. 먼저 헝가리의 그간의 북한연구성과를 들어보도록 하죠.북한, 식물지 펴내마훈카-제가 학술조사의 목적으로 북한 땅을 밟은 것은 지난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만들어내고 생명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는 유전공학기술이 1973년에 처음 등장한
이래
70년대 말부터 산업화의 길을 걷고 있다. 특히 80년대 초에 이르러서는 국내에서도 이 기술개발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생쥐의 젖에서 TPA를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공학적 기법을 활용, 폐유를 분해하는 '슈퍼버그'라는 미생물이 미국에서 개발된
이래
환경분야에서도 유전공학을 활발히 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연세대 환경대학원 정용교수는 "기초분야 처리기술분야 행정적 기술분야가 함께 발전해야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