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마토 익혀 먹으면 심장에 좋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암과 싸우는 능력을 증가시킨다는 논문이 미 ‘농업과 식품화학’
저널
4월 17일자에 발표됐다. 코넬대 식품과학과 루이 하이 류 교수팀은 토마토에 열을 가할 경우 비타민C는 감소하지만, 유익한 화합물인 파이토케미칼의 일종인 리코펜(토마토나 다른 과일을 붉게 만드는데 ... ...
청바지 염료 생산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인디고 염료를 유전자변형 박테리아로 만들었다고 ‘산업미생물학 및 생명공학
저널
’ 최신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붉은 색소 유전자를 제거한 대장균에 특정 효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삽입했다. 이 효소는 대장균에 있는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을 인디고의 전구물질인 인독실로 변형시킨다.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기억할 것이다. 진짜 티라노사우루스가 달리는 속도가 이 정도로 빨랐을까. 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 2월 28일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티라노사우루스가 아예 달리지도 못했다고 한다.체중의 86%가 다리 근육?티라노사우루스는 과연 어느 정도의 속도로 달릴 수 있었을까. 1986년 미국의 ... ...
기자가 만난 우리의 빛 전문가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들려오는 빛에 대한 최신 연구들은 상당히 흥미롭게 느껴졌다. 하지만 당시 해외
저널
에 발표된 원문들을 살펴봐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다.스페셜 리포트 코너를 기회삼아 이 분야와 관련된 국내 전문가들을 물색했다. 생각보다 국내에 느림보 빛을 연구하는 전문가가 많지 않았다. 겨우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권교수는“이 연구결과에 대해 해외 연구진은 믿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당시 국제
저널
에서도 신중하게 검토한 뒤 게재했을 정도다”고 말했다. 그는“생애 최고의 연구를 발표하던 날, 우리나라가 IMF 구제금융을 선언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나노는 반도체 레이저에서 비롯광전자학에서는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기록을 깬 실온 연구그런데 하버드대팀이 발표한지 몇달 뒤인 1999년 6월과 8월에 물리학
저널
인 피지컬리뷰레터는 빛의 속도를 3백60K(87℃)에서 90m/초, 그리고 실온에서 8m/초로 낮췄다는 연구를 소개했다. BEC를 이용한 빛의 속도를 추월한 것이다. 이는 결국 실온에서도 높은 밀도와 도플러효과의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8명의 분자생물학 박사에 의해 수행됐다. 그 결과는 같은 해 11월에 세계적인 과학
저널
인 네이처에 발표됐다. 이 방법이 쓰이기 위해서는 제퍼슨에서 오늘날까지 부계로만 이어지는 후손이 필요하다. 즉 제퍼슨의 아들, 다시 그의 아들, 그리고 또 그의 아들 등으로 이어져는 후손이 있어야 한다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못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때부터 황사현상이 발생했다. 3월 14일자 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과학자들이 바람에 의해 모래와 진흙이 2백m 이상 쌓인 황토고원을 조사한 결과 황사현상이 2천2백만년 전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1천4백만년이나 앞선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관측한 국제공동연구진 두팀이 나란히 설득력 있는 증거를 ‘네이처’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에 각각 내놓았다. 부메랑(BOOMERANG)과 맥시마(MAXIMA)라 불리는 두팀은 지구대기의 방해를 피하기 위해 남극 상공 37km, 텍사스 상공 40km에 각각 기구를 띄워 태초의 빛을 관측했다. 이들의 결과가 1991년 ... ...
반소음으로 차량 소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미국음향학회
저널
1월호에 소개됐다.주인공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영진 교수팀. 박교수팀이 개발한 모형 시스템은 60데시벨인 자동차의 소음을 최대 6데시벨까지 줄여준다. 이는 소음을 나뭇잎이 살랑거리는 정도로 낮춘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