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청정 수소 생산의 첫걸음 일체형 전극 소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여러 위협에 노출돼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지구 온난화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수십 년간 지속해서 화석연료를 써 왔습니다. 덕분에 산업 ... 진정한 의미의 수소경제는 온전한 그린 수소 생산 기술이 완성되기 전에는 찾아올 수 없다는 점만은 분명합니다 ... ...
- [특집] 붉은 여왕이 알려준다! 거울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더 쉬운 문제로 바꿔서 풀어보지요. 하나의 관점에서 봤을 땐 어려운 문제도 다른 관점에서 보면 쉬운 문제일 수 있거든요. 이를 ‘거울 대칭성’이라고 해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용어설명 면대칭 : 면이 기준이 되는 대칭이에요. 기준이 되는 면을 따라 반으로 나눌 때 ... ...
- [가상 인터뷰] 알맞게 온도를 조절한다 스마트 전자레인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보완해 줄 ‘스마트 전자레인지’ 원천 기술을 발표했어요. 스마트 전자레인지는 어떤 점이 다르니? 얼어 있는 음식물을 냉동실에서 꺼내 전자레인지에 돌려보면 겉은 녹아도 안은 그대로 차가운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기존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이 고정되어 있어서 음식물에 일정한 ... ...
- [기획] 7000년 동안 모은 뼈가 한가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크기와 질감, 색깔 등에 따라 뼈(치아 포함)들을 분류한 뒤 최종 표본으로 삼은 건 총 1917점. 분석 결과, 뼈는 6839년 전 것부터 439년 전 것까지 있었어요. 70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누군가 차곡차곡 뼈를 모아왔다는 이야기예요. 뼈들의 주인은 도마뱀, 새, 바위너구리, 케이프멧토끼, 소, 염소, ... ...
- [수학뉴스] 전기차 에너지, 최적 경로 알고리듬으로 아껴 봐!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모형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방문하는 장소들을 점으로 나타내고, 현재 위치에서 다른 점으로 갈 때 필요한 에너지량을 고려해 충전소를 갈지 말지 결정했답니다. 이 모든 것을 합쳐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최적 경로를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했습니다. 이 알고리듬을 이용하자 ... ...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줘. 예를 들어 원소가 3개인 3차 대칭군에는 (012)와 (210)이 있어. 대칭군의 변환 과정은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해. 수학자들은 그래프를 보고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을 알아내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측했으나 어떻게 알아내는지는 알지 못했어. 대칭군의 원소가 늘어나면 ... ...
- [핫이슈] 자가복제 하는 로봇의 탄생, 제노봇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제노봇이 만든 ‘자식 세대의 제노봇’인 겁니다. 제노봇 3.0이 이전 버전과 가장 다른 점은 ‘모양’이에요. 이전 버전이 공 모양의 덩어리였다면, 제노봇 3.0은 알파벳 C자 형태지요. 제노봇이 더 효과적으로 자가복제 할 수 있도록 고안한 모양입니다. 연구팀이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알고리듬을 ... ...
- [기획] 특이한 뼈를 가졌군? 신종 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더 뾰족했죠. 그런데 타르키아 투마노바에의 뼈를 이리저리 살펴보던 연구팀은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왼쪽과 오른쪽이 똑같은 모양이어야 할 꼬리 곤봉이 비대칭이었던 것이죠. 박진영 연구원은 “산양이 뿔을 부딪치며 싸우면 한쪽 뿔만 변형되는데, 타르키아 투마노바에도 같은 종과 ... ...
- [기획] 해머 잡을까, 말까?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각 엔드마다 해머를 가지고 있을 때 승률을 구할 수 있었지. 마지막 3엔드가 남았을 때 점수 차에 따라 해머를 가진 팀이 이길 확률은 다음과 같아. 우리도 이번 동계올림픽을 보며 직접 통계를 내 확인해 보면 어떨까? 케빈 파머 기자의 컬링 통계: 해머를 가진 팀이 이길 확률은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축하해요.합격 비결이 궁금해요. 특별한 비결은 없지만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는 점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제가 4살 때부터 수학 보드게임을 좋아하고 창의력 문제를 많이 풀었어요. 흥미를 느끼면 시간 투자를 많이 하잖아요, 수학, 과학 공부에 많은 시간을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잘하게 된 것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