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면"(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많은 반도체칩이 박혀있는 기판을 떠올려보자. 기존의 반도체레이저는 기판의 평면을 타고 레이저광을 발사시키는데 비유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차세대’ 반도체레이저는 기판 위에 촘촘히 박힌 칩들 각각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나오는 구조다. 매질의 부피가 아주 작아졌기 때문에 미소한 전류만 ...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하려는 서양의 추구와는 달리, 얼굴은 평면적이고 자세는 딱딱하지만 그림 전체에서 풍기는 인물의 기품을 숭상했다.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왼쪽 측면상 형식을 바꿔야할 이유가 별로 없었다.그러나 서양의 초상화는 늘 새로운 지식과 기법을 ... ...
- 오목 거울의 진실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이미지를 만들어보자.■왜 그럴까?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물체다. 거울은 형태에 따라 평면거울, 볼록거울, 오목거울로 나뉘는데 그중 평행하게 들어온 빛을 거울 안쪽으로 모으는 것이 오목거울이다. 오목거울의 축에 나란하게 들어온 빛이 반사된 뒤에 모이는 곳이 초점이다.오목거울은 빛을 ...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물질론적 사고에 도달한 것이다.순수 조형 세계인상파 미술 이후 전개된 그림이 점점 평면이 돼갔던 이유는 현대미술가들에게 명암에 의한 입체표현은 거짓말이었기 때문이다. 그림으로 무엇을 그린다는 것이 의미가 없어진 현대미술가들은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순수조형의 세계를 그려나갔다. ...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태양과 함께 탄생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c) 명왕성을 제외한 모든 행성들은 거의 같은 평면 내에서 공전한다. 이것은 행성들이 납작한 원반형의 성운에서 탄생됐음을 시사한다.(d) 행성의 자전축은 공전축에 대해 기울어졌다. 그리고 행성이나 위성 표면에 수많은 운석 구덩이가 있다. 이런 관측 ...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화면에다 똑 같이 옮겨 놓아야만 한다. 그런데 화면은 2차원의 평면이다. 원칙적으로 3차원의 실제공간을 2차원의 화면 위에 옮겨놓는 일은 불가능하다. 현실을 화면에 옮기기 위해서는 어떤 장치가 필요한데, 그 장치가 바로 원근법이다.원근법? 가까이 있는 것은 크게, 먼 ...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과학동아 l1999년 05호
- 건물의 빈 공간을 벽으로 채워 횡력을 지탱하는 방법이다. 면 형태의 구조는 같은 평면 내에서 작용하는 힘에 매우 강하다. 이 때문에 고층 아파트의 벽체는 집과 집을 가로 막는 물리적인 차단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횡력에 저항하는 역할도 해낸다. 대부분의 사무용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를 ...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뛰어난 이유는 무엇일까.첫째는 홀의 형태이다. 이 홀들은 전형적인 직사각형의 평면에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형태는 천장이 높고 홀의 폭이 좁아서 측벽을 통한 음의 강한 반사가 빠른 시간 내에 객석에 도달하고, 객석수에 비해 공간의 체적이 커서 긴 잔향시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완전성을 건축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고대 건축물이다. 스톤헨지는 원의 이미지를 평면적으로 해석해 천체의 움직임을 읽어내는 도구로 활용했지만, 이에 반해 판테온에서는 원의 이미지가 구라는 3차원 구조물로 축조됨으로써 천상의 비밀을 지상에 축조해놓은 상징성이 확보될 수 있었다. ...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법에 의한 직각삼각형의 비례가 적용됐고, 배흘림기둥으로 유명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에는 1:1.618의 황금비가 적용됐다. 또 고구려의 장군총과 신라의 첨성대 등에는 모두 동서남북의 절대 방위가 숨어있다. 이와 같은 수학적 비례와 방위각을 채용한 것은 고대문명권 어디에서나 공통적으로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