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d라이브러리
"
평소
"(으)로 총 2,421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의 과대평가가 아이를 망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다른 아이들보다 뛰어나다’와 같은 질문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과대평가 하는지,
평소
애정표현을 어느 정도 하는지를 알아낸 것이지요.또 ‘난 다른 아이들보다 뛰어나다’와 같은 질문으로 나르시시즘이 있는 아이들과 자신감이 있는 아이들을 구별했답니다. ‘나르시시즘’은 남들에 비해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가렵다고 무조건 긁지 말고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거나, 스트레스를 제때 풀어
평소
에도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어요.가려움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1 가려운 곳에 찬 얼음을 갖다 대면 가려움이 덜 하다? YES!근본적으로 가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은 아니에요. 하지만 긁는 행위를 ... ...
Intro 눈앞이 번쩍~! 번개 특종을 잡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들어온다. 오늘은 아침부터 벼락이 떨어져서인지 웬 번개사냥꾼이라는 사람이 찾아왔다.
평소
같으면 “웬 번갯불에 콩 볶아 먹는 소리”라며 웃어넘겼겠지만, 특별히 수학동아에만 알려 준다는 말에 조금씩 맘이 끌렸다.어쩌면 그가 말한 연구 결과가 헛소리가 아닐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과학자들은 그 답을 바다에서 찾았어요.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거대한 인공섬을 만들어
평소
에는 닻이나 이동조절장치로 고정을 해 놓아요. 그러다 태풍이 와서 파도가 심해질 때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는 인공섬을 만든 거지요. 파도와 해류를 극복하라!이런 인공섬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재미있지 않아요?"메뉴판 속 스윗스팟은 없다?어색함을 줄이기 위해서였을까.
평소
아는 척하던 버릇이 자꾸 나왔다. 혹시 그거 아시냐고. 음식 업계 사람들은 메뉴판 오른쪽 윗부분을 '스윗스팟'이라고 부른다고. 사람들이 메뉴판을 볼 때 이 지점에 시선이 가장 오래 머문다고 알려져 있어서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장 익숙하고 잘 아는 공간이 도시니까. 우리 머리 위바로 10m에서 비행하도록 했다.
평소
에도 충분히 상상하고 꿈꿔볼 수 있는 경험을 주기 위해서.Q. 시뮬레이터를 개선하면 실재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아래로 떨어질 때 가속도를 느끼게 한다거나.A. 지금도 일부 사람들이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대피소 에서 사망했다는 안타까운 사실을 알게 됐다. 해일 의 규모를 예상하지 못하고
평소
처럼 대피소로 피신 한 것이다. 연구를 수행한 이마무라 후미히코 교수는 NHK 다큐멘터리 ‘재앙, 빅데이터’의 인터뷰에서 “쓰 나미 대피소를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 지대가 높은 곳에 마련해야 한다는 ... ...
꽈~악! 악력 클수록 더 건강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5kg 감소할 때마다 사망 위험이 17%씩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악력이 감소하면
평소
심혈관계 질환이 없던 사람도 심장마비나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17%나 증가해 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렁 교수는 “근력 측정만으로 질병을 앓는 사람들의 사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고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정도로 넓다). 즉, 태양 표면부터 태양풍이 퍼져나가는 공간 전체가 코로나다. 코로나는
평소
에는 햇빛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일식이 일어나 태양 원반 (지상에서 둥글게 보이는 태양 표면)이 달에 완전히 가려진 뒤에 보면 다르다. 태양 주위로 빛이 산란한 희뿌연 구조를 볼 수 있는데,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대학원생의 전화를 받고 전자현미경이 있는 학교 실험실로 급히 달려갔다. 효모 몸 안에
평소
와 달리 작은 주머니가 가득 차 있었다. "인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주머니(운반 소낭)를 처음으로 발견한 거니까요." 노벨상과의 인연은 이렇게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