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뉴스
"
단일
"(으)로 총 1,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처럼 가느다란 ‘땀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보고 있다. 윤 교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응용해 기존의 2차원 박막 소자를 1차원
단일
섬유 형태의 소자로 만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NPG 아시아 머티리얼즈’ 26일자에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인간의 성격은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단일
한 유전자 변이로 단정지어서는 안됩니다. 게다가 어느 인구집단에서나 DRD4 III 7 repeat를 가진 사람은 소수입니다. 아무리 진취적인 집단에서도 여전히 마이너리티입니다. 대부분의 집단에서 DRD4 III 4 repeat가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보다 회절한계값이 4배 향상된 메타물질을 제작했다. 이를 이용해 두께 변화가 필요없는
단일
렌즈로 4배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결국 지문에 쏜 초음파에서 생성된 소멸파 정보를 해석할 때, 기존보다 4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두 지점에서 오는 음파 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된 셈이다 ... ...
[미래융합포럼]“과학기술이 복잡한 인간문제 해결하긴 어려워. 범융합연구 구심점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내놓을 수 있도록 회원들과 힘을 모으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앞으로 올 시대는
단일
기술로는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융합 교육과 연구, 산업의 최종목표는 사회문제를 발굴해 해결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또 “사회의 문제는 인간 문제가 뭔지 알아야 하기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다루는 첨단산업에 적용될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전류 재정의에 사용된
단일
전자펌프 기술은 향후 반도체 산업이나 미세먼지와 같은 사회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반도체가 계속 작아질수록 피코암페어 이하의 누설전류가 발생할 확률은 커진다. 누설 전류의 양에 따라 반도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가 떨어진다. 광원이 섞이면서 백색광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무지개를 보면(물론 실물로)
단일
파장 빛의 높은 채도를 실감할 수 있다. 그래프 가운데 D65는 완전한 백색광으로 색의 채도가 0이다. D65에서 멀리 갈수록 채도가 높아지는데, HD 영상의 공간(안쪽 삼각형)보다 UHD 영상의 공간(바깥쪽 ... ...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11.12
짧은 반복서열이다. 반면 조상 찾기 서비스는 염기 1개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인
단일
염기다형성(SNP)을 통해 개인의 특징을 식별한다. 연구팀은 872명의 범죄수사 DNA 데이터와 조상 찾기 서비스의 게놈 데이터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 ...
칭기즈칸의 조상들 3300년전 우유 마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주로 수십만~수백만 개에 걸쳐 개인마다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이 달라진 부위인 ‘
단일
염기다형성(SNP)’을 마커를 이용해 검사하는 기술이다. 정 그룹리더는 e메일 인터뷰에서 “2016년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동아시아 고게놈 시료가 전세계적으로 거의 없던 시기라 알타이 산맥 동쪽에서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보루키는 “35년 전 케플러 미션을 생각하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우리 태양계 밖의
단일
행성을 알지 못했다”며, “케플러를 통해 이제는 행성이 어디에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앞으로 미래 세대가 우주를 탐험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열어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케플러의 최근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전류를 추출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녹조류 세포를 한 번에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단일
층의 세포 필름을 제작했다. 바늘모양의 나노 전극이 조밀하게 배열된 기판을 개발해 대량의 조류세포를 연결했다. 나노 전극 기판 위에 세포 필름을 샌드위치처럼 올려놓고 압력을 가하면 전극이 수많은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