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동료"(으)로 총 1,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2016.12.27
-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다. 올해 ‘네이처’에는 20건, ‘사이언스’에는 8건의 부고가 실렸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7명이다. 결국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1명이 된다. 이들의 삶과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2016.12.26
- 때 창립 교수진으로 참여해 인식론과 학습, 미래학습 그룹을 이끌었다. 1967년 페퍼트는 동료들과 최초의 어린이용 프로그래밍언어인 ‘로고(Logo)’를 만들었다. 로고거북이로봇(Logo turtle)이 명령에 따라 공간을 돌아다니며 그림을 그리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수학의 기초를 자연스럽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 설계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위적인’ 행동에 착수했다. 즉 그의 스승인 스미스와 동료 연구자들은 1960년 발표한 논문에서 식물을 먹으로 하는 초식동물의 수는 결국 포식자에 의해 조절되므로 녹색세계가 유지되려면 포식자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1963년 페인은 워싱턴주 마카 만 해변에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다. 올해 ‘네이처’에는 20건, ‘사이언스’에는 8건의 부고가 실렸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7명이다. 결국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1명이 된다. 이들의 삶과 ... ...
- [사이언스 지식IN] ④ 독감, 재발하기도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일반 감기로 고생하고 있어요.’ 이처럼 어제도 오늘도 가까운 지인과 가족, 친구, 동료와의 대화에서도 ‘독감’ 이야기가 빠지지 않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 환자’ 수의 증가로 보건복지부는 급하게 오늘(21일)부터 10~18세 독감 환자는 타미플루와 같은 독감 치료제(항바이러스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다. 올해 ‘네이처’에는 20건, ‘사이언스’에는 8건의 부고가 실렸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7명이다. 결국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1명이 된다. 이들의 삶과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삶과 연구가 담긴 ‘Messages from Islands’는 12월 13일 출간됐다. - 네이처 제공 한스키와 동료 연구원, 학생들은 매년 4000여 곳의 지역을 조사했는데 400~800 곳에서 나비를 발견했고 그 지역은 해마다 바뀌었다. 즉 메타개체군 내에서 국지개체군이 소멸되고 재등장하는 일이 반복됐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 ...
- 관점의 중요성 ‘공감 사진’ 팝뉴스 l2016.12.19
- 서서 찍었다. 이 이미지는 묘한 매력이 있다. 사진 촬영에서만 이런 게 아니다. 친구도 동료도 그리고 인생 자체도 보는 각도, 또는 시각 그리고 관점에 따라 달라 보인다는 ‘교훈’을 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즉 탄소원자 60개로 이뤄진 안정한 분자가 만들어졌다는 얘기다. 두 사람은 라이스대의 동료 화학자 로버트 컬과 함께 이 화합물의 구조를 연구했고 축구공과 똑 같이 생긴 분자라는 놀라운 결론에 이르렀다. 즉 정육면체 조각 20개, 정오면체 조각 12개를 이어붙인 축구종의 패턴에서 꼭짓점 60개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2016.12.18
- 해양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9년부터 리즈대에서 강사로 있으면서 동료들과 암석 시료에 있는 희토류 원소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한 뒤 이를 응용해 대서양의 곳곳에서 해수(海水)를 채취해 시료 50리터에 들어있는 희토류 원소를 피코(10-12)몰 수준으로 분석했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로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