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37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서 메탄 다량 분출…미생물 존재 가능성"
연합뉴스
l
2021.07.07
것"이라고 말했다.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 내부 구조 상상도. 얼음으로 덮인 바다
아래
에서 열수 활동이 일어나 뜨거워진 수증기가 얼음을 뚫고 분출하는 모습.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대신 지구화학과 미생물생태학을 결합해 카시니호의 물기둥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 ...
[잠깐과학]미적분법 개발자 라이프니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03
언덕
아래
로 굴러가는 공을 상상해봅니다. 어떻게 하면 공의 속도를 알 수 있을까요. 공의 속도는 시간에 따라 점점 바뀌기 때문에 공의 속도를 재려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움직인 거리를 파악해야 합니다. 짧은 시간 동안 움직인 거리처럼 무한히 짧은 순간 동안 변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 ...
[주말N수학]라켓소년단 1승의 전략
수학동아
l
2021.07.03
복식 조를 만들면 나머지 2복식 조 역시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조합으로 계산해보면
아래
식이 나옵니다. 3단식과 2복식을 구성하는 경우의 수는 단식의 6가지와 복식의 6가지를 곱해 총 36가지입니다. 팀의 전략을 짜는 감독은 가능한 경우의 수를 고려해 팀의 오더를 짭니다. 단체전 5경기 ... ...
소행성 충돌 1000만 년 전부터 공룡 멸종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순 다양성 비율을 계산했는데 7600만 년 전을 기점으로 공룡의 종 다양성은 0
아래
로 뚝 떨어졌다. 퀴리 교수는 “신종 출현이 기존 종의 멸종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만큼 사라지는 종이 급격히 늘었다는 뜻”이라며 “공룡이 소행성 충돌로 갑자기 멸종한 게 아니라 7600만 년 전부터 1000만 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뿌리면 NGR5 양이 늘어나 곁가지 생성을 막는 유전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해(오른쪽
아래
) 곁가지가 많아지며 수확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이언스 제공 ○ 참조게놈에서 범게놈으로 한편 다양한 품종의 게놈을 해독할 수 있게 되면서 게놈 해석에 대한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이 ... ...
북미에 뜨거운 공기 가두는 거대한 뚜껑이 덮였다…'열돔현상'에 연일 폭염·최고기온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이는 곧 태평양 전체에 바람이 불도록 한다. 뜨거운 공기가 위로 가고 차가운 공기가
아래
로 깔리는 대류현상으로 서태평양의 바다에 닿아 뜨거워진 공기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온도 변화가 크지 않은 동태평양 지역은 대류현상이 줄게 된다. 이렇게 겨울철 서태평양에서 만들어진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이런 과정을 거쳐 하나의 매립지가 가득차면 마지막으로 최종 복토층을 덮는다.
아래
에서부터 물이 잘 통과하지 않는 점토를 45cm 두께로 덮은 차수층, 부직포를 깔아 배수를 돕는 배수층, 그리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양질의 흙을 60cm 덮는 식생대층이 쌓인다. 매립이 종료된 지 20여 년이 지난 제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남았습니다. 이 두 바위는
아래
가 규장암질 암맥, 위가 화강반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
쪽 규장암질 암맥은 절리가 많아 더 잘 부서져 잘록한 목이 되었고, 덜 부서진 상단의 화강반암은 불룩한 얼굴이 되어 지금의 모습이 된 것입니다.. 앞으로 파도가 계속 바위를 때린다면, 서낭바위는 ... ...
[주말N수학]수학으로 살펴본 일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동아
l
2021.06.26
낮춰 방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준을 맞추려면 희석에 필요한 깨끗한 물의 양은
아래
와 같습니다. ○ 오염수를 연구하는 사람들 일본 후쿠시마에서 오염수를 방류한 지 229일이 지났을 때의 확산 상황을 나타낸 그림이다. 독일 킬대학교 연구팀은 2012년 오염수가 처음 방출될 때의 농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덜 생기게 하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진피는 표피와 접한 유두진피층과 그
아래
망상진피층으로 이뤄져 있다. 진피가 상처를 입으면 망상진피에 있는 섬유아세포(reticular ENF)가 EPF로 성격이 바뀌면서 콜라겐을 과도하게 만들어 밧줄다발처럼 뭉치게 해 흉터로 남는다(위). 상처가 나도 YAP를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