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06.26
- 태어났을 때 별 이상이 없었어도 자라면서 말과 보행이 더딘 아이가 있다. 여기에 관심사가 제한적이고,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이면 자폐증을 의심해야 한다. 아직도 ‘어떤 과정을 통해 자폐증이 진행하는가’에 대해선 밝혀진 게 거의 없다. 이와 달리 인체 유전자 지도가 작성되고 ... ...
- ‘폐질환 연구 외길’ 이호영 서울대 교수, 2018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8.06.19
-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연구위원(44)과 장내미생물 면역 연구자인 이경아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연구교수(34), 생체 모방 재료 연구자인 신미경 KAIST 화학과 연구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19일 서울대에서 열렸으며, 수상자는 부상으로 각각 2000만 원(학술진흥상)과 500만 원(펠로십)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나는 중국인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모르겠다... 중국 여성에게 도대체 무슨 치명적인 매력이 있어서 아이들을 많이 낳는지 모르겠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여행 일기에서 그들(아스페르거 증후군 어린이들)은 전적으로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에 대한 존중이라고는 도대체 없다. 이는 의식 ...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동아사이언스 l2018.05.30
-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부분). "추운 계절이 된 뒤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는 논어의 글에 영감을 받아 그리고 글을 썼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추운 환경에 식물이 저항하는 비밀을 밝혀냈다. 세한도는 국보 180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추운 계절이 된 뒤에야 소 ... ...
- 패션이 과학과 만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8.05.30
- 오늘은 어떤 옷을 입을까?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패션은 매일의 화두입니다. 패션도 과학과 만나 다양한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요. 드론이 패션쇼에 서는가 하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 천연섬유를 대체하기도 합니다. 또 인공지능의 발달로 미래의 패션을 예측하고 가품을 검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 ...
- 미생물이 스스로 나노 재료 만들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5.23
- 논문 제1저자인 최유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과 총책임자 이상엽 특훈교수. -사진 제공 KAIST 미생물인 대장균을 이용해 다양한 구조의 나노 재료를 안전하고 빠르게 합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독성이 강한 물질(유기용매)과 비싼 촉매를 쓰던 기존 화학 공 ... ...
- 세계는 지금 '신소재' 전쟁 중...과학-공학계 판도 뒤집을 ‘꿈의 소재’ 찾아라동아사이언스 l2018.04.20
- 3월 말 테슬라의 전기자동차 모델 X가 충돌사고 직후 폭발했다. 전문가들은 2차전지(배터리)가 원인이라는 우려를 제기했다. 충전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밀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기계적 문제가 생겨 화재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용량 확장이 한계에 이른 현재의 리튬이온 배 ... ...
- KAIST, 암 치료 효과 높인 레이저 치료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16
- 완성된 물질의 화학구조 (위쪽), 미토콘드리아 타게팅 효과 (왼쪽), 및 레이저에 따른 활성산소종 생성 (오른쪽)을 보여주는 그래프.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 광역학 치료제(Photodynamic Therapy, 이하 PDT)의 단점을 보완한 근적외선 형광물질을 개발했다. 기존 치료법의 단점 및 부작용을 개선해 암 ... ...
- 비만-아토피-암 치료 돕는 한국인 장 속 ‘착한 미생물’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3
- 생명공학硏-서울대병원-바이오기업 한국인 ‘마이크로바이옴’ DB 구축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 수는 인체세포의 10배인 100조 개에 이른다. 대부분은 소장, 대장 등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장내 미생물들이다. 무게는 다 합해 2㎏ 내외(몸무게의 1~3%)지만 유전자 수는 인간 유전자의 100배에 이른 ...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전문지 ‘더 크리스퍼 저널’ 창간동아사이언스 l2018.04.09
- 로돌프 배런고우 교수가 맡게 됐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2013년 첫 등장과 동시에 유전공학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어놨다는 평가를 받는다. ‘징크 핑거(ZFN)’ ‘탈렌(TALEN)’ 등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정확도와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구성하는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