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1건 검색되었습니다.
흡연은 금연 후에도 몸에 흔적 남긴다…"면역반응에 큰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파스퇴르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흡연과 거대세포바이러스 잠복 감염, 체질량지수(BMI)가
인간
의 면역 반응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는 연구 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세균과 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나타나는 면역 반응은 ... ...
방사선 유발 DNA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방사선 치료 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팀이 방사선이
인간
및 생쥐의 정상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DNA 돌연변이의 특성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암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방사선 치료는 암 조직을 효과적으로 파괴하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 ...
"2015년부터 북극해 열파 매년 발생…해양 폭염 일상화"
연합뉴스
l
2024.02.14
해양 열파가 발생할 확률은 1% 미만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북극해 열파 발생의 원인이
인간
활동에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온실가스의 영향 등을 기후 시나리오에 적용할 경우 북극해에서는 해양 열파가 앞으로 연례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여름 스웨덴 쇄빙선 오덴이 촬영한 ... ...
"침 한 방울로 유방암 진단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4.02.14
가지 생물 표지를 이용해 ▲건강한 유방 ▲초기 유방암 ▲진행성 유방암을 판단한다.
인간
타액 21개 샘플을 이 장치로 검사한 결과 건강한 유방 조직과 암 조직을 정확하게 구분해 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타액 샘플에 들어있는 유방암 생물 표지의 밀도가 극소량이라도 검사 결과는 ... ...
완두가 흡수한 미세플라스틱, 열매 통해 후세대로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오브 해저드스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14일 온라인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식물은
인간
과 동물의 식자원이다. 식물이 흡수한 미세·나노플라스틱은 먹이망을 통해 토양생태계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 내 미세·나노플라스틱의 이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미세·나노플라스틱에 ... ...
실제 뇌기능 구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연구팀이 인쇄한 뇌 조직을 3D 화면으로 재구성한 모습. Cell Stem Cell 제공. 실제 뇌처럼 세포들이 형성되고 연결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3D ... 간 연결성이 줄어든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이번 기술은 개선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향후
인간
의 뇌를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잠깐과학]1996년 2월 10일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1
첫 번째 경기에서 패배하지만 나머지 경기에서 3번 비기고 2번 이겨 3.5대 2.5의 점수로
인간
체스 챔피언에게 공식적으로 승리합니다. 이때 딥 블루의 성능은 1초에 무려 2억 가지의 수를 분석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월 1일,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식자 죽음이 생태계 파괴로 이어지진 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0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선 그간 자세히 규명되지 않았다. 자연의 생태계 유지 능력은
인간
의 예상보다 뛰어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이먼 타이 미국 아칸소대 교수 연구팀은 호수 생태계에서 포식자의 대량 폐사 이후 오히려 먹이사슬이 안정화 됐다는 연구결과를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설연휴 몰아 잘까…수면 부족보다 나쁜 ‘불규칙한 수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많이 자는 불규칙한 수면 패턴은 피로가 더욱 커지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
의 몸은 하루 24시간 일주기 리듬을 유지한다. 낮잠을 많이 자거나 밤낮 수면이 바뀌거나 지나치게 많이 자면 생체시계와 밀접한 수면 리듬이 깨지면서 피로감이 커지게 된다. 연휴 기간 잠을 몰아 자면 ... ...
나무 많은 곳 걸으면 뇌 활동 개선…"
인간
은 자연 사랑하도록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접근성이 낮아지고
인간
의 건강이 나빠지고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스테이어 교수는 “
인간
은 수십만년에 걸친 진화 과정에서 자연 및 생물을 사랑하는 본능을 갖게 됐다는 ‘바이오필리아’라는 개념이 있다”며 “오늘날은 휴대폰, 자동차, 컴퓨터 등으로 농밀하게 채워진 도시 정글이 형성돼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