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AI 융합 분야 신규과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들어가거나 유튜브에서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밤하늘과 친해지기’로 검색하면 다양한
천문
현상과 관측 방법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현재 ‘나랑 별 보러 가지 않을래?’ ‘하늘에서 별이 떨어져요!’ ‘목성과 토성의 만남’ 등 3편이 올라와 있으며, 매월 1편 이상 추가될 예정이다 ... ...
충돌위협소행성 '아포피스' 한국 우주개발 새 목표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지구에 접근하면 아포피스의 궤도와 자전 특성이 모두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문홍규
천문
연 책임연구원은 “아포피스 양 끝에 작용하는 중력의 차이로 산사태가 일어나거나 표면 흙이 흩날릴 수 있다”며 “그 결과 지표 아래가 드러나면 태양계 초기 비밀을 담은 소행성 내부를 들여다보는 ... ...
아랍강소국 UAE 화성탐사선, 美·中 제치고 내달 10일 화성 도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아랍에미리트(UAE)의 화성 궤도선 ‘아말’이 한국시간으로 다음달 10일 화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사진은 화성 궤도에 도착한 아말 상상도. MBRSC 제공 올해 건국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사된 아랍에미리트(UAE)의 화성 궤도선 ‘아말(아랍어로 희망이라는 뜻)’이 한국 시간으로 다음 달 10일 오 ... ...
지구에서 가까운 ‘트라피스트-1’ 지구형 행성 7개 “밀도 놀랍도록 비슷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행성계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김승리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그간 트라피스트-1 행성계의 7개 행성은 질량을 정확히 구하기 어려웠다”며 “정밀한 관측 자료로 질량을 매우 정확히 결정하고, 이를 통해 행성의 밀도까지 추론해냈다는 점에서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장관(오른쪽)이 이달 25일 열린 '과학기술미래포럼'에 참여해 최영준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으로부터 우주관측 카메라와 지구관측 카메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포럼에 참여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우주탐사에 관심이 ... ...
과학기술 정부출연연 6개 기관장 후보 3배수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박병곤(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 - 박영득(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 - 박장현(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김진한(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상률(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황진영(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 ...
지구, 생명체 원소 질소 "처음부터 상당부분 갖고 출발"
연합뉴스
l
2021.01.22
목성 궤도 바깥쪽뿐만 아니라 안쪽의 질소를 끌어모았다는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
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휘발성 원소의 기원을 찾아내는 것은 태양계 안쪽 암석형 행성의 형성은 물론 원시행성 원반의 역학을 밝혀내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과학자들은 원시행성 원반의 원시 목성 ... ...
태양 표면보다 뜨거운 코로나 온도는 100만도...
천문
연·NASA, 세계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8
10년간 태양물리 분야에서 꾸준히 협력연구를 진행한 성과”라고 말했다. 김연한
천문
연 책임연구원은 “ISS용 코로나그래프 개발은 저비용 고효율의 태양 탐사 연구의 활로를 개척할 것”이라며 “태양 연구 난제인 코로나 가열과 태양풍 가속 비밀의 실마리를 푸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밝혔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1963년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에 아레시보
천문
대와 함께 건설됐다. 반사판의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 ...
별 만드는 가스 잃으며 '죽음' 향하는 90억광년 밖 은하 관측
연합뉴스
l
2021.01.12
은하 간 중력 작용으로 전체 가스의 46%가 은하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 것으로 분석했다.
천문
학자들은 가까운 우주에서 별을 새로 만들지 못하고 늙은 별만 가진 죽은 은하를 많이 관측했지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런 상태에 이르게 되는지는 알지 못했다. 시뮬레이션 상으로는 은하 중심의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