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스페셜
"
대학원
"(으)로 총 1,061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다차원 분광학의 원리를 조명했다고 밝혔다. "저 나름대로는 다차원 분광학을 모르는
대학원
생이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기본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주는 이론을 완성했다고 평가합니다. 1990년대부터 10~15년간의 연구를 정리한 내용이기 때문에 이정표를 제공했다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참전한 뒤(물론 독일군으로) 1945년 튀빙겐대에 들어가 고생물학을 공부했다.
대학원
에서 쥐라기와 트라이아스기 화석을 연구하던 자일라허는 1951년 파키스탄의 염지대(Salt Range)를 탐사하다 초기 캄브리아기 바위에서 삼엽충이 기어간 흔적을 발견했다. 이처럼 고생물들의 활동 흔적이 화석으로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의 재배를 책임져 온 이가 바로 서경희 연구원이다. 서 연구원은 독일어 전공으로
대학원
까지 진학했지만, 사실 식물 재배에 대한 노하우가 전혀 없었다. 졸업 후 대구에서 한 잡지사의 기자로 활약하던 그녀는 남편의 직장 때문에 포항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하지만 여기서 제2의 인생이 시작될 ... ...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어느 정도 이제 자리를 잡고 있고, 또한 녹색경영과 기술 관련 교육과정이 KAIST 녹색성장
대학원
에 만들어져 이제는 4개의 축이 각 역할을 담당하는 녹색 다이아몬드라는 기반이 구축되었습니다. 이는 녹색 1.0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창조경제를 지향하는 사회에서 녹색 2.0 시대를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장점을 조합해 시너지를 낸 결과가 노벨상수상으로 이어진 셈이다. 이 실험실에서 일한
대학원
생들은 좀 고달팠을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회의나 학회가 있어도 둘 가운데 한 사람만 참석하는 걸 원칙으로 해 두 사람이 다 실험실을 비우는 경우가 좀처럼 없다는 것 ... ...
눈에 보이는 창조경제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상상'을 넘어 '미래'로 동아사이언스와 함께하는 창조경제 캠페인! 여덟 번째 주자로 2003년 30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참여해 설립한 과학기술연합
대학원
대학교(UST) 이은우 총장! 이 총장이 생각하는 '창조경제란?' 그리고 다음 출연자는 누구인지 들어본다.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또는 ‘반직관적인 진실’의 최고봉은 역시 현대물리학이 아닐까 한다. 필자 역시
대학원
에서까지 양자역학 과목을 들었지만(정확히는 양자화학) 솔직히 슈뢰딩거방정식을 풀면서도 이게 뭔 소린가 하는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래서 웬만해서는 현대물리학을 에세이 소재로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KISTI
l
2014.05.26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이라 한다. 데이빗 레비(David Levy) 미국 워싱턴대학교 정보
대학원
교수가 만들어낸 용어다. 2011년 6월 CNN을 통해 처음 소개된 ‘팝콘 브레인’ 증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여러 기기로 멀티태스킹을 반복할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 ...
과학기술과 경영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
KAIST
l
2014.05.19
대상으로, 전 세계에서 IT 전략을 다루는 국가 공무원들을 교육하는 글로벌 IT 기술
대학원
이다. 이외에 비학위 교육과정에는 기술사업화 교육과정, 미래경영 CEO 과정 등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통해 학술 연구는 물론, 기술경영 현장 정보의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KAIST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 들어오는 데 필요한 자질은? 어차피 깊이 있는 연구는 대학과
대학원
에 와서 하게 될 테니, 고등학생 때 특별히 어떤 한두 가지, 혹은 한두 과목을 잘한다고 생명화학공학과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우선은 모든 분야에서 재미를 느끼며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