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81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비밀을 푸는 거의 모든 방법
2015.10.18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뇌에 접근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뇌 자체를 미시적 세계로
보고
뉴런과 신경전달물질에 주목하면서 이로 인해 나타나는 행동이나 질환을 이해하려한다. 최근에는 분자 수준의 변화를 뇌 전체에서 측정해 해석하려는 뇌 검사법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 ...
[삼시세끼 어촌편2]차승원이 ‘물회’로 만든 우럭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5.10.16
차승원과 유해진, 그리고 처음 합류한 박형식이 맛나게 먹었던 ‘우럭 물회’를
보고
금요일부터 침을 흘린 덕분에, 바다가 가까운 지역인 울산에서 배부르게 물회를 먹고 왔습니다. 부럽지요? 호호호. ○ 횟감의 제왕, 우럭 우럭은 양볼락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본래 이름은 ... ...
아이폰6s 영접(?) 전 알면 좋은 신기능 4가지
2015.10.16
닿자마자 잠금이 풀리는 정도입니다. 지문인식이 너무 빨리 이뤄지기 때문에 잠금화면을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다는 불평(?)까지 쏟아지고 있습니다. 순식간에 지나가는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찬찬히 확인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해외에서 아이폰6S를 먼저 사용한 사람들이 이를 위한 대책 공유에 ... ...
환절기 독감 예방백신, 맞을까 말까
2015.10.16
바이러스가 제대로 무력화되지 않아 감염이 도리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보고
되고 있다”고 말했다. 독감 바이러스는 A형과 B형이 있는데 두 유형을 모두 잡을 수 있는 만능 백신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올해 어느 유형이 유행할지 모르는 만큼 ‘두 마리 토끼’를 잡지 못한다면 진정한 ... ...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정부의 ‘한국형 녹색 뉴딜’ 사업이다. 이 전(煎) 대통령은 2008년 정부 부처 합동 업무
보고
에서 “4대강 재탄생은 기후변화 문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며 “이 사업으로 물이 생기고 바람길이 생기면 그게 곧 녹색경제로 이어진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환경을 살리겠다는 목표로 ... ...
만화가? 선생님? 조진호-조주희, 최강 남매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15
어릴 적 만화와 헐리우드 영화에 푹 빠져 지낸 남매가 있었어요. 남매는 함께 영화도
보고
시골에서 뛰어 놀며 자랐지요. 서로 똑 닮았던 남매는 어른이 돼서도 닮은꼴이 됐어요. 둘 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자 과학 만화가거든요. 이 사연의 주인공은 바로 닥터 ... ...
150km 강속구, 두산 타자는 조상우를 어떻게 공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5.10.15
○베테랑 타자는 노리고 들어간다 0.25초라니! 투수의 손가락을 모양을 순간적으로
보고
휘두를지 말지 결정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베테랑 선수들은 애초에 노림수를 가지고 타석에 들어선다고 합니다.(투수의 손가락 모양과 변화구의 관계는 좀 나중에 이야기하기로 하지요. 저도 ... ...
2050년 한국인도 ‘기후 난민’ 되나
2015.10.14
아니다 한반도는 기후변화에서 안전할까. 기상청이 발표한 ‘2010 이상기후 특별
보고
서’에 따르면 한반도는 1912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기온이 약 1.8도 가량 상승했다. 특히 도시 밀집 지역에서 상승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당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수치보다 더 ... ...
[단독]朴대통령, ISS 우주인과 영상통화 예정… 우주협력 확대
동아일보
l
2015.10.13
방문했다. 이 전 대통령은 미 합참의장이 전 세계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으로부터
보고
를 받고 지시하는 ‘탱크룸’에서 한반도 안보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다. 전쟁지휘 상황실에서 미군 수뇌부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행해진 안보 브리핑은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준 상징적 장면이었다. 박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아닌 분자들도 400여 가지나 존재한다. 한마디로 카나비스는 천연화합물의
보고
인 셈이다. 1980년대 THC의 향정신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은 놀라운 발견을 한다. 즉 뇌에서 THC에 결합하는 수용체를 발견한 것. CB1(cannabinoid receptor type 1)이라고 명명된 이 수용체의 존재는 우리 몸에서 ... ...
이전
966
967
968
969
970
971
972
973
9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