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006gy가 어마어마한 폭발을 일으켰다고 발표했다. 이 초신성은 폭발의 절정에서 태양 500억
개
를 합친 것에 맞먹는 빛을 내뿜어 여태까지 알려진 초신성 폭발 가운데 가장 강력한 것으로 기록됐다.미국 연구진은 이 초신성 폭발이 전형적인 초신성 폭발보다 100배 더 강력한 규모라고 밝혔다. 보통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줄었기 때문이다. 200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아놀드 슈와제네거 지사가 ‘백만
개
의 지붕’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2018년까지 총 29억달러(약 2조 6000억원)를 설치비용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조금배 조선대 태양에너지실증연구사업단장은 “정부의 지원으로 태양광 마을의 수가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실제 물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의 정보에 민감하다. 원이 여러
개
겹쳐진 ‘회전하는 뱀’(사진은 www.ritsumei.ac.jp/~akitaoka/rotsnakee.html 참고) 사진을 놓고 한 사람에게 “왼쪽 원만 돌고 오른쪽 원은 멈춘 것 같지 않나요?”라고 물으면 상대방은 처음에는 모든 원이 다른 방향으로 도는 ... ...
3대가 모여 있는 대가족 성단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차이나는 3세대의 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구상성단이란 수백
개
에서 수십만
개
의 별이 구 모양으로 모인 집단으로 한 성단 안에 다른 세대의 별이 발견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연구팀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NGC2808과 같이 질량이 큰 구상성단은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비공유전자쌍을 가지는 원자를 함유하는 분자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공명혼성체의
개
념에 의해 잘 설명할 수 있다 공비등(共沸騰)이 일어날 수 있는 용액상태의 액체혼합물 일반적으로 용액을 증류하면 끓는 데 따라 조성이 변하며 따라서 끓는점도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보통이다그러나 어떤 ... ...
방어진에는 배가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중형엔진은 주로 선박이나 육상의 발전기에 사용된다.현대중공업이 2000년 독자적으로
개
발한 중형엔진인 ‘힘센’(HIMSEN)은 현재 세계 각지로 수출되며 효자 노릇을 톡톡히하고 있다 ... ...
나노세계선 뭐든 알아서 척척!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과학자들이 자기조립의 원리를 찾는 일은 자연을 모방하려는 노력과 맞닿아 있다. 조
개
껍질이 단단한 이유나 진주가 아름다운 색을 내는 이유, 상어가 빨리 헤엄칠 수 있는 이유나 연꽃잎의 방수능력이 뛰어난 이유를 자기조립 구조에서 찾는 것이다. 이 구조는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상태다. 이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
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매일 지구에는 눈 깜박할 사이에 6
개
월간 한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만한 에너지를 내뿜는 번
개
가 800만번이나 친다. 90% 이상의 번
개
가 구름 속에 ... 보면 시커먼 구름 위에서 칠지 모를 메가번
개
가 떠오르리라. 조종사가 무서워하는 메가번
개
의 비밀을 밝힐 우리 연구진의 활약도 기대해보자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원하는 이름을 붙일 권리를 갖는다.한국천문연구원은 보현산 천문대가 2004년 발견한 5
개
의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승인을 받아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처럼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붙였다.진정으로 밤하늘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고 싶거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 ...
멀티미디어 컴퓨팅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쓰이는 숫자 가운데 1은 수십
개
지만 0은 몇
개
안된다는 것에 착안해 새로운 방법을
개
발했다. 즉 핑거프린트에서 0인 것만 추출해 1과의 뒤섞임을 없앴다. 분석과정에서 0과 1의 정보가 서로 뒤섞여 해독에 어려움을 겪은 까닭이다. 또 0을 -1로 변환해 평균값의 정보를 음수와 양수로 세분화하는 ... ...
이전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9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