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뉴스
"
감염
"(으)로 총 10,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교정한 아기 태어났다” 中 과학자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교수는 “유전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목적이 아니며,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바이러스
감염
에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희귀한 형질을 갖게 했다”고 밝혔다. 허 교수가 26일 중국임상센터(HhCTR)에 올린 문서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한 HIV 면역 유전자 CCR5 유전자 교정의 안전성 및 효용성 평가’에 ... ...
UNIST 대학원생, 한국 최초로 머크 생명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결과를 발표했다. 기존의 TonEBP 단백질은 신장에서 소변양을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병균에
감염
됐을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원은 간암 환자에서도 TonEBP 단백질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고, 간암의 진행 단계별로 이 단백질이 다른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 ...
슈퍼박테리아 잡는 국산약 있어도…출시 요원에 환자 '발동동'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국내에서 발생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에
감염
된 환자는 23일 기준 1만613명에 달한다. CRE는 카파베넴 계열을 비롯한 거의 모든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이다. 현재 슈퍼박테리아 항생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도 국내 시장보다는 ... ...
실험용원숭이는 왜 고압전류 위험 무릅쓰고 사육장을 탈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실험 약품에
감염
돼 있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원숭이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김 센터장은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실험시설이 아닌 사육시설이며 탈출했던 원숭이 역시 실험에 동원된 적 없다”고 ... ...
“한해 1000만명이 슈퍼박테리아로 사망하는 시대 온다"
2018.11.18
세균의 진화가 두렵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얘기다. 이광준 질병관리본부
감염
병연구센터 연구관은 “정부도 지원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며 “공공-민간의 협력으로 임상가치가 있는 물질은 찾는 등 성과가 쌓이면, 향후 지원 폭도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개념 항균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새로운 기전 항생제의 성공 가능성을 검증했다”며 “향후 내성발생 없는 새로운
감염
치료제 개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승서 교수는 ”21세기 의학의 가장 큰 난제인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인디아나대 배태옥 ... ...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11.09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단백질의 모양을 바꿔
감염
을 피한다. 흥미롭게도 이번에 밝혀낸 유전자는 현대 유럽인에게만 존재한다. 네안데르탈인과 고대 아시아계 인류 사이에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가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 에너드 ... ...
英연구진, 230만쌍 염기서열 한번에 해독…최장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나노포어는 비교적 최근 등장한 기술이지만 작년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
된 모기 게놈을 해독하는 등 활용을 늘리고 있다. 30억 쌍에 이르는 게놈을 한 번에 읽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다양한 게놈 해독 기술이 게놈을 잘게 잘라 읽은 뒤 정보를 합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때 읽는 DNA 한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명희 생명硏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상황이다”며 “향후 다른 구성 요소들의 기능이 밝혀지면 인체 친화적인 항바이러스
감염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우리 몸에 존재하는 효소 복합체 등을 이용하면 인체 거부반응이 적은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 ...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됐다. 덕분에 암세포의 전이 과정에서 특정 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하거나 바이러스의
감염
경로를 확인하는 등 연구성과가 쏟아져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같은 뇌질환의 발병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던 것도 녹색형광단백질 덕분이었다. 이 같은 녹색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을 이끈 ... ...
이전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9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