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9건 검색되었습니다.
110년 신비 '핵 얼룩'의 재발견, 암세포 아킬레스건 될까
연합뉴스
l
2021.04.06
돌연변이 p53의 유전자 제어에 핵 얼룩이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 연구 중이다. 버거
교수
는 "우리의 가설이 맞는다면 p53과 핵 얼룩의 연계를 방해하는 항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라면서 "이 연결 고리가 암의 아킬레스건이 될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 ...
[랩큐멘터리] 6G 시대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도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연구실마다
교수
와 연구원,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열정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자 한 명 한 명은 모두 하나하나의 학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210개에 이르는 연구실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 ...
이차원 반도체 물질 형성될 때 일차원 구조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구조를 거쳐 층을 이루는 과정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조만호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팀과 엑스레이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해 이황화몰리브덴의 층이 쌓이다 보면 반도체 특성이 어느 순간 n형에서 p형으로 바뀐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n형은 반도체 내에서 여분의 전자가 전류를 흐르게 하는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현재 바다고리풀을 양식할 방법을 찾고 있다. 에르미아스 케브레브 UC데이비스 동물학과
교수
는 “인류가 사용하는 땅은 농경지보다 목초지로 적합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목축업은 인류의 식량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해조류가 가축의 메탄 배출을 줄이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 ...
WHO 모스크바사무소 "인간이 동물에게 코로나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옮겨오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
는 지난달 9일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주최 포럼에서 “실험에서는 동물이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증상을 보여도 현실에서는 인간에게 전파를 시킬 정도는 아니다”며 “설령 감염됐다 하더라도 다시 사람에게 이를 ... ...
"미 코로나 4차대유행 조짐 속 이번엔 30~40대 젊은층이 주도"
연합뉴스
l
2021.04.06
대해 "지금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사람은 젊은 사람들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웬
교수
는 "미시간 같은 곳에서는 입원하는 많은 사람이 30∼40대다"라며 "심지어 많은 어린이가 감염되는 것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에서는 그동안 65세 이상 고령층이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사망의 주요 ... ...
"비만수술 받는 환자에 가장 결핍된 영양소는 비타민D"
연합뉴스
l
2021.04.06
위한 표준 영양 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박
교수
는 "연구를 통해 밝힌 주요 결핍 영양소를 중심으로 부족한 부분을 미리 파악해 보충해 준다면, 비만대사수술 후 영양 결핍을 최소화하면서도 건강하게 체중 감량, 혈당 감소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 ...
박쥐 수명과 나이의 비밀 후성유전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4.06
정확히 계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제럴드 윌킨슨 메릴랜드대 생물학과
교수
는 “박쥐는 늙어도 청력이 쇠퇴하지 않는다”며 “청각과 관련있는 DNA 메틸화도 추가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 ... ...
[잠깐과학] 꿀벌도 투표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이 복잡한 일을 성공적으로 해내는 걸까. 1997년 미국 코넬대 생물학자 토마스 실리
교수
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후보지를 찾은 꿀벌들은 자신이 찾아낸 후보지들을 춤으로 알린다. 잠시 후 이 춤에 다른 꿀벌들이 얼마나 합세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후보지들 가운데 몇 군데로 압축된다.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체내 삽입 가능한 봉합사형 변형 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 김태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 및 환경공학부
교수
팀은 식품 속 유리지방산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분석법을 개발했다. 유리지방산은 과도하게 섭취하면 고지혈증 등 심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주나 기존 분석법이 식품이 아닌 다른 곳에서 유입된 유리지방산을 ... ...
이전
970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