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11
달이 없고 맑은 가을밤 별빛을 주의깊게 관찰해보자.의외로 별들도 여러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별의 색깔은 온도와 나이를 말 ... 질병을 알아내는 것처럼, 간단해 보이는 별빛의 색을 통해 그 별의 표면온도에서부터
일
생까지 알려주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11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메모는 생활화될 필요가 있다. 비록 방금 메모한 내용이 하찮은 것
일
지 모르지만, 여기에 살이 붙고 다른 사람의 의견이 더해져서 정말 가치있는 아이디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특히 번개처럼 스쳐가는 소중한 아이디어를 제때 기록하지 못해 지금도 가슴 한구석에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11
크게 줄지 않고 멀리 날아갈 수 있다.예를 들어 골프공의경우에는 매끈할 때보다 곰보
일
때가 두배나 멀리 날아간다.물론 야구공에도 솔기가 없었다면 박찬호선수가 시속 1백50km가 넘는 강속구를 구사하거나 메이저리그 한시즌 최다홈런기록을 깬 마크 맥과이어 선수는 가공할 만한 홈런을 치지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11
생각할 수 있다. 하이퍼노바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에서 자체 중력으로 붕괴돼 폭발을
일
으키는 초신성(수퍼노바)보다 더 큰 규모의 천체를 말한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감마선 폭발천체의 빛은 태양보다 30배 이상이나 무거운 하이퍼노바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11
따라 결정된다. 현 교수가 개발한 자기나노기술는 자기메모리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
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론상 현 교수가 개발한 막대자석을 사용하면 현재보다 용량이 1천배 이상인 1T(${10}^{12}$)byte가 가능하다.현 교수는 “실용화를 위해서는 상온에서 자성을 가져야 한다”며, “이를 ... ...
우주 건설 작업에 '로봇뱀' 참여한다
과학동아
l
200011
각 구성요소가 전부 동
일
한 모듈로 조합돼 있으므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
일
반 로봇보다 쉽게 고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람이 직접 참여할 수 없거나, 위험한 지역에서 인간을 대신해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향후 인공 플라스틱이나 고무물질로 로봇뱀의 근육을 제작해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11
정도에서 토론을 마치고자 합니다.지금까지 두 토론자꼐서는 요즘 UFO현상과 관련해
일
반인들에게 주목받는 몇몇 주제에 대해 말씀해 주셨습니다.UFO가 정말 실재하는지에 대한 두분의 의견이 무척 분분하군요.어떤 식으로 결론지어야 할지 판단하는 것은 독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 놓겠습니다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11
열리고, 학자들의 저서가 출간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몽골과 러시아, 중국 등 동북아
일
대의 암각화 조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1999년에는 한국암각화학회가 창립되기에 이르렀다.그러나 아직은 암각화 연구자의 수도 소수에 불과하며 발견된 유적의 정밀보고서도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있는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11
이를 구현하기 위해 타분야와 다양한 접목을 시도하는 것은 의미 있고 필요불가결한
일
이다.인간 본연의 호기심에 기초한 순수물리와 현실을 직시한 응용물리가 조화롭게 겹쳐질 때에 비로소 21세기에도 건강함과 다양성을 겸비한 물리학을 지켜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 올 노벨물리학상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11
신경전달물질의 실체가 완전히 밝혀진다면 치매를 비롯한 각종 뇌질환을 정복하는
일
도 가능하다.1909년 뇌의 구조를 신경세포 수준에서 명확하게 보여준 라몬 카할과 카밀로 골지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래 여러 신경과학자들이 노벨상 업적을 이룩할 수 있었다.두뇌는 소우주라 불리는 것처럼 ... ...
이전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