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8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전증 발작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이온 농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고감도 나노센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1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나노센서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생쥐의 발작 정도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도 성공했다. 뇌전증은 3대 뇌질환으로 꼽힌다. 뇌 신경세포의 ... ...
'우한 봉쇄' 신종 코로나 전파 2.91일 늦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시각도 있다. 우한에서 중국 당국이 밝힌 것보다 더 많은 감염자가 있을 수 있다고 국제
학술
지 ‘랜싯’에 발표한 조셉 우 홍콩대 공중보건학 교수는 사이언스에 “우한 봉쇄는 겨우 2.91일을 연기했을 뿐 감염자 발생 곡선에 별다른 차이를 미치지 못한다”며 “사람들 간 거리두기가 훨씬 필수적인 ... ...
[팩트체크]독감과 감기, 신종코로나 어떻게 구분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의료진과 오명돈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팀이 이달 3일 대한의학회가 발생하는 국제
학술
지(JKMS)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이 환자는 인천으로 입국해 확진 판정을 받기 하루 전에 열과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경미한 증상이 나타난 이후 3일 만에 폐렴에 ... ...
빌 게이츠는 왜 세계 최대 과학행사에 나타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과학 일반에 관해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조직을 가진 미국의 민간 비영리단체로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를 출간하고 있다. 전 세계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 과학적 책임, 공공 정책 및 과학 외교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매년 마련하고 있다. 올해 연차총회의 주제는 ‘내일의 ... ...
임신부-태아 신종 코로나 수직감염 위험성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임신부가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사례를 들어 위험성을 예측하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랜싯'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당시 사스에 감염됐던 임신부 12명 중 4명이 유산하고, 3명이 사망했다. 2명이 낳은 태아는 미숙하게 성장했으며, 4명은 조산했다. 메르스에 감염됐던 임신부 11명 중 ... ...
낯선 그곳에서 그날의 공포가 되살아 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재발하는 트라우마와 공포기억에 대뇌 후두정피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국제
학술
지 ‘몰큘러 브레인’ 2월호에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대뇌 후두정피질은 뇌의 뒤쪽 정수리에 있는 두정엽의 일부로, 공간적 추론이나 의사결정 판단 등 뇌인지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25번환자 '잔기침' 며느리에 감염추정…경증 때도 전염되는듯"(종합)
연합뉴스
l
2020.02.10
지금 더 조사·연구가 돼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바이러스 전문가들의
학술
단체인 대한바이러스학회도 6일 보도자료에서 "무증상 감염자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는 의견을 냈다. 무증상 감염자가 바이러스를 전파했다는 독일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오류로 확인됐다"고 ... ...
차별이 통증보다 아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실험과 뇌과학 분석을 통해 차별을 당할 때 고통을 느끼는 정도 차이를 밝힌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이달 3일 발표했다. 오랫동안 미국에서는 흑인이 백인보다 고통을 더 잘 견딘다는 주장이 통설처럼 내려온다. 혹독한 노예 제도와 오랜 차별을 견뎌오면서 고통과 통증에 ... ...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발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와 일치하는 점이 없음을 확인하고 생물학과 의학 분야
학술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발표했다. 기존 바이러스의 유전체와 전혀 다른 유전체를 지닌 바이러스 발견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학계에 따르면 하수구에 서식하는 바이러스의 95% ... ...
“신종 코로나 ‘슈퍼전파자’ 존재 가능성 있다...병원내 감염도 유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내놓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저자들은 현재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슈퍼 전파자에 대한
학술
적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슈퍼 전파자 여부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사실을 우려했다. 보고서는 이 환자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 간 전염 속도가 빠르다는 사실도 ... ...
이전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