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맺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공생의 다른 한쪽을 이루는
개체
가 미생물인 경우가 많다는 것.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은 생물의 생명활동과 진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의 가치를 조명하고, 미생물을 중심으로 공생의 개념과 역사를 밝힌 책이다. 40억년의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설명은 “왜 사랑하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짝짓기(mating)라는 말에는 두
개체
가 상호 합의하에 서로를 동시에 선택하는 느낌이 묻어난다. 그러나 사실 자연계의 대다수 동물종에서는 주로 암컷이 신중하게 선택하는 입장인 반면 수컷들끼리 암컷의 선택을 받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식할 때처럼 이식 장기 내에 림프조직이 풍부할 때 잘 일어난다.결국 면역반응은
개체
가 이식된 장기에 대해서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이식장기 내의 면역세포도 수혜자의 조직을 공격할 수 있다. 이때 어느 쪽이 강하냐에 따라서 거부반응이나 이식편대숙주반응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검출하기 위해 이전처럼 DNA를 추출할 필요가 없어 인체에 해로운 바이러스를
개체
하나까지 신속하게 검출해낼 수 있다” 고 밝혔다. 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나노 다이빙대 위에 특정 바이러스에만 결합하는 항체를 부착시켜 원하는 바이러스만 검출해낼 계획이다.또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검출 ... ...
여우야, 여우야, 살았니 죽었니?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야생여우가 살고 있는 흔적이 있다고 보고됐을 뿐 정확한
개체
수는 밝혀진 바 없다” 고 말했다.프랑스 작가 생 떽쥐베리의 동화 ‘어린왕자’ 에서, 여우는 왕자에게 “무엇이든지 마음으로 보지 않으면 잘 볼 수 없어. 제일 중요한 것은 눈에는 보이지 않는 법이야” 라고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 있는 축전기 후대검정(後代檢定)을 응용하여 가축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하나
개체
보다 그 가계 전체의 평균 능력에 중점을 두는 것을 말하며, 가족육종법이라고도 한다 사슬모양 고분자의 사슬 사이를 화학결합에 의하여 서로 연결시킨 것 가교고분자는 이온 교환 수지처럼 적당히 팽윤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난자와 정자는 모두 1벌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이 둘이 만나 2벌의 염색체를 가진
개체
가 태어나는 것이다. 드물게 난자의 염색체가 2벌로 분열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발생 10일을 넘기지 못하고 배아가 죽기 때문에 정자의 자극없이는 정상적인 발생이 불가능하다는게 정설이었다.정자로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앞서 바다에 고래가 얼마나 살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개체
수 변화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산상 근거들이 실제 생태환경과 얼마나 맞아 떨어지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IWC가 1986년 전세계 국가들에 상업적 포경을 잠정 중단하도록 요구한 것도 그러한 불확실성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도움이 된다어떤
개체
의 행동이 자신의 적응도뿐 아니라 자신과 유전자를 공유하는 다른
개체
의 적응도에 미칠 영향을 함께 고려해 더한 값골수 안에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 백혈구와 적혈구 같은 혈액세포로 분화한다구리로 된 본체에 수은과 금을 섞은 도금액(아말감)을 칠해 가열하면 수은은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함께 실린 영국 개방대의 칼리 스티븐스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의 대규모
개체
수 감소는 축산업과 화석연료가 원인이었다. 영국의 초지 68군데를 조사한 결과 화석연료의 연소나 가축의 배설물을 통해 토양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질소가 생물종의 20%를 멸종에 이르게 했다는 것.미국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