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지(旣知)의 굴절률을 가진 기준 유리의 표면에 시료(試料)의 연마면을 접촉시켜 그
경계
면의 임계각 (臨界角)을 측정하여 굴절률을 구한다 한 종류의 광상이 비교적 대량으로 존재하는 지역 광상 생성의 시대는 한 시기가 아니라 몇 번이고 전후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어떤 특정한 성인(成因)으로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지식은 과학과 시장경제의
경계
에서 새롭고 흥미 있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주식시장에 숨어 있는 물리학 이론프랙탈단순한 구조가 반복돼 복잡한 구조를 만드는 것을 프랙탈이라고 한다. 주가는 여러 개의 프랙탈이 반복되는 다중 ... ...
소금의 힘에 무너진 쇠소깍 아귀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염풍화가 활발히 일어나 타포니가 잘 발달한다. 암석에 발달한 절리와 광물입자의
경계
를 따라 염분이 쌓여 결정을 이루며 성장한다. 그러면 결정성장에 의한 압력으로 암석의 절리면이 점차 벌어지며 붕괴한다.쇠소깍의 타포니는 초기에 탁구공에서 야구공 크기의 주먹만한 작은 구멍들이 여러 개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윈(rawin)도 발명된 이후에는 측풍기구·레이윈·라디오존데·항공기가 주로 사용되었다
경계
층(지상에서 600~800m까지) 위쪽의 기상을 연구하는 학문 원어는 「대기의 학문」이라는 뜻이다 1930년 이후 라디오존데가 발달하여 기상학의 대상이 지상 부근의 대기층뿐만 아니라 대류권(對流圈)에서 지상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빛의 속도와 어떤 매질 속의 빛의 속도의 비를 굴절률이라 한다 굴절률이 클수록 매질의
경계
면에서 빛이 휘어지는 정도가 커진다소립자 세계의 질서를 나타낸 기본 모형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쿼크, 렙톤과 이들 사이의 힘을 매개하는 입자로 나타낸다 힉스입자는 이 입자들에 질량을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절대로 원하던 관측자료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금성은 대기가 두텁게 덮여 있어서 그
경계
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즉 금성과 태양이 만나는 정확한 시각을 측정하는 것이 단순한 관측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금성과 태양간의 정확한 거리를 얻기란 그의 방법으로는 어렵다.만약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주비행선 대신 대형 풍선(벌룬)을 띄워 올린다. 주요 공략지점은 우주와 지상의
경계
지인 지상 40km의 성층권.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고도보다 4배 높은 곳이다. 우주 연구에 풍선을 쓴다고 하면 어쩐지 첨단 과학과 멀게 느껴지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보통 풍선이 아니죠. 세계 최고의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스캔한 뒤 수채화 같은 느낌으로 색을 입혔다. 가운데 신경세포의
경계
선을 뚜렷하게 그려 튀어나온 것 같은 효과를 줬다. 울퉁불퉁한 질감이 일품. | 사진 부문 | 북부 유럽의 가을 느낌|제임스 아버, 엠포리아주립대몇 개의 도형 안에 다시 비슷한 도형 여러 개가 들어있는 것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부르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입자는 다이아몬드 같은 보석. 입자와 입자의
경계
에서는 빛이 산란되기 때문에 보석이 단결정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반짝거릴 수 없다.김 교수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약간 ‘삐딱한’ 입자다. 하나가 커지면 주변의 다른 입자들도 덩달아 순식간에 커진다.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뇌신
경계
를 직접 자극하는 뇌자극술은 뇌신경망의 정보처리를 조절하거나 손상된 신
경계
를 재생시키는 등 응용 가능성이 많은 분야다. 미국 뉴욕주립대에서는 쥐의 양쪽 감각중추와 쾌감중추에 전극을 이식한 뒤, 감각중추의 자극에 쥐가 반응하면 쾌감중추를 자극해 쥐의 움직임을 통제하는데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