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d라이브러리
"
고안
"(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생체분자 3차원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효소 활성부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열성 또는 내화학성 등이 향상된 변종 단백질을
고안
할 수 있다. 이렇게 극한 상황에 견디는 효소 단백질들은 앞으로 유지공업 전분공업 석유공업 등에 더욱 널리 사용될 것이다.이와같이 X선을 이용하여 분자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많다.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결혼제도에 대해 깊은 회의를 드러내는 말을 자주 했다. 결혼은 "상상력이 없는 돼지가
고안
한 것이 분명하다"고 했으며 "교양의 옷을 걸친 노예제도'라고도 했다. 그는 또한 "95%의 남자와 그 정도의 여자들이 천성적으로 일부일처제에 어울리지 않으며 많은 상대와 즐기기를 선호한다"고 주장했다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그것은 과학자들에게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 점점 더 복잡한 천체의 메커니즘을
고안
함으로써 태양계의 지구 중심관에 맞추었던 중세 천문학자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어긋나는 개념들의 혼란과 우주의 대부분의 것을 찾는데 대한 계속되는 실패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봉한 낙관적인 ... ...
옹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내용물이 자체 순환교류 작용을 하면서 좁은 아구리를 통해 자외선을 충분히 받도록
고안
된 것으로 믿어진다.그러므로 영호남지역의 그릇모양이 중부지역 옹기보다 좋다 해도 이것으로 중부지역에서 장을 담근다면 영호남 지역에서의 장맛과 같을 수 없고 장의 신선도도 낮을 것이다. 신석기 시대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셈할 때에는 무한의 수가 나타나야 할 것이다.이처럼 칸토르는 무한을 셈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하지만 그 셈법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는 평소 유한의 대상에 대해서 늘하고 있는 1대1 대응 방식에서 출발했다. 교실 안에 있는 학생의 집합 M, 교실 안의 책상의 집합 N에서 학생 하나에 책상 ... ...
3. 디자인과 기술조화, 작업효율 극대화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모양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사람의 몸과 마음을 가장 편안하게 하기 위해
고안
된 것들로, 바로 디자인과 인간공학의 접목이 이루어낸 결과물이다.디자인이라는 용어는 분야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인식돼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능에 부합되는 형태를 창출하는 조형활동 ... ...
3. 꿈의 에너지 핵융합, '인공태양'까지 구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개발은 먼저 미국 핵물리학자 텔러박사와 옛소련의 핵물리학자 사하로프 박사가
고안
한 가공할 위력을 가진 수소폭탄의 개발에서 시작됐다. 이 시기가 1950년 전후. 선진과학기술국들에 의해 비밀리에 시작됐던 인공태양에너지 개발계획, 즉 제어 핵융합 에너지 개발 연구의 결과로 핵융합 반응 ... ...
살아있는 치아를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지난해 9월 우파시에서 개최된 국제구강학세미나에서 하사노프가
고안
한 이식법에 의한 치료율이 95%에 달한다는 사실이 보고돼 관계자의 주목을 끌었다 ... ...
2 인공조직 개발, 피부·근육·뼈도 바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방안의 하나로 1970년대에는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관절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
됐다. 시술 후 뼈가 직접 자라서 빈 공간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오랫동안 고정하자는 개념이다.이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문제점은 실제 뼈가 제공된 공간속으로 잘 자라 들어가지 않는 데에 있다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우주론은 바로 관측되는 우주의 팽창은 받아들이되 초기의 특이점을 피할 수 있도록
고안
된 모델이다.CC 우주론은 본디(Bondi) 호일(Hoyle) 골드(Gold) 등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학 연구소 사람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지금도 케임브리지대 천문학 연구소의 현관에는 SF '암흑성운'으로도 유명한 호일의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