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퍼즐 여행] 섬의 나라 인도네시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인도네시아! 1만 7000개 이상의 섬이 있는 섬나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으로 이뤄진 나라라고 해요. 아름다운 해변이 많은 곳이기도 하지요. 5월에 종영한 예능 프로그램 ‘윤식당’의 촬영지 ‘길리 트라왕안’도 인도네시아에 있습니다. 아름다운 섬을 품은 인도네시아로 떠나봅시다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천연두로 전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에 1만 명 이상이 천연두로 사망했다.무시무시한 천연두를 제너의 종두법으로 예방할 수 있음이 증명됐지만 왕실과 종교인들은 접종을 강하게 거부했다. 소의 고름을 몸에 넣는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하고, 해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53개 대학, 500개 이상의 산업체들도 CEA와 협력하고 있습니다.샤또(Chateau)를 가진 연구소CEA 카다라쉬 연구센터에는 볼 것이 너무도 많습니다. 일단 바로 옆에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대마를 재배해 진통제로 복용하다가 적발된 경우도 많다.현재 한국을 비롯해 대부분의 나라가 대마 복용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중독성이 있으면서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 임상과학연구소의 올리버 하위스 교수는 대마초의 중독 성분인 THC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글로벌 기업들이 C8 및 더 긴 과불화화합물을 더 이상 생산하지 않는다고 해도, 다른 나라에서 제품에 함유된 상태로 수입되면 국내 소비자들은 과불화화합물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에 어떤 물질이 얼마나 쓰였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과불화화합물의 종착지는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되는 양을 얻을 수 있다”며, “재난 지역이나 중국과 아프리카 처럼 수도 공급이 어려운 나라들에게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선 이렇게 많은 노력이 필요하구나. 이제야 물의 소중함을 알았어. 그동안 물을 낭비한 게 부끄러워지는걸…. 아프리카 ... ...
-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젊을 때 새까맣던 머리카락은 나이가 들면서 하나씩 희어진다.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져 숱이 점점 적어지기도 한다.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머리카락이 노화하는 원인을 밝혀, 흰머리를 없애거나 탈모를 치료하는 데 한걸음 다가갔다.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의료센터의 피부과 전문의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데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탄생했다. 처음에는 미국 내 시위로 기획됐지만, 곧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기술인들이 연대의 뜻을 보이며 각지에서 자체적으로 동시 행사를 기획해 세계적인 규모로 거듭났다.서울 ‘함께하는 과학행진’ 소수자 과학자 목소리 높여서울에서 열린 ‘함께하는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채소를 듬뿍 넣어 먹는 피타…. 세상에는 셀 수도 없이 많은 빵이 있다.대륙마다 나라마다, 그리고 빵마다 생김새가 다르고 맛이 다르다. 하지만 순위를 매기기 어려울 만큼 각자 맛있는 개성을 뽐낸다. 빵은 기원전 약 2000년 전부터 인류를 키웠다. 이보다 훨씬 전에 사람이 먹었던 단순한 밀가루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실질적인 빵 역사는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하지만 아시아의 모든 나라가 서양으로부터 빵과 제빵 기술을 전해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밀을 재배했으며, 밀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왕래가 잦았던 한반도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