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중범 교수는 SET 연구에 희소식을 전했다. SET기술을 이용해 반도체에 들어가는 핵심
논리
회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SET는 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NTT)와 영국케임브리지 히다치 그룹처럼 일본이 선도하는데, 2개 이상의 회로를 구성해야 연산이 가능한 단계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 교수는 하나의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직전에 집합론에서 중요한 패러독스(러셀의 패러독스)를 발견했다(1901)이것은 나중에
논리
학·수학기초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굴의 좌우 움직임이 비대칭이고 아래쪽이 주로 움직인다. 이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은
논리
적인 판단을 관장하는 좌뇌와 감성적인 반응에 관여하는 우뇌의 기능이 분화돼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또 다른 가짜 표정의 특징은 정점(peak)에서 표정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다는 점이다. 정점에서 평상시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짝이 없는 1+1=2를 증명한 이유는 이 증명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수학 지식은
논리
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것이었답니다. 너무도 당연해 보이는 것도 증명한다는 것이 참 신기하지요? * 러셀의 1+1=2의 증명이 궁금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도발적인 내용도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창의는
논리
전개 과정에서입니다.이번 심사에서는 초등학생들 수준에서 가질 수 있는 과학 오개념과 관련된 내용도 이야기 되었습니다. 창의적 발상과 나름대로의 이야기 전개는 자칫 과학 글쓰기가 SF에 머물 수 있다는 지적이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또는 그 위상은 제한된 종류의 수치나 부호에 대응하도록 설계된다보통 두 종류이며,
논리
값의 0과 1에 대응시킨다카르복시기 2개를 갖는 2염기산 생체 내의 대사중간체로서 중요한 것이 많다중성이며, 해리(解離)하여 2가 음이온으로 되 고, 모노카르복시산보다 생체막(生體膜)을 통과하기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일반적으로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단, 1891~1953 독일의 과학철학자 1920~30년대를 통해
논리
실증주의(論理實證主義)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고 38년 미국에 건너가 과학철학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과학의 방법론에서는 상대빈도의 극한으로서 확률을 해석함으로써 귀납법의 기초형성을 ... ...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숨어있다. 선택공리는 20세기 초 독일의 어니스트 체르멜로가 발견한 것으로 지금도 수리
논리
학 분야의 큰 주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선택공리가 참이라면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f(x)=\frac{16}{1998}x$가 아닌 이상한 함수를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불행히도 이런 함수가 존재한다고 증명만 할 수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둔다. 그리고 갖가지 사건들을 일으켜 종속변인으로서의 결과를 기술한다.“과학은
논리
적인 흐름을 따라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때로는 소설 같은 상상력으로 벽을 뛰어넘어야 할 때가 있어요.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처음 생각해 낼 때도 마찬가지 아니었나요?”실제로 안교수는 소설을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개수를 어림하는 복잡한 경우도 있다. 복잡한 문제일수록 다양한 과학지식과 고차원의
논리
적 사고가 필요하다.1961년 SETI 프로젝트(외계지적생명체 탐사계획)의 주창자인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는 흥미로운 식을 발표했다. 우리은하 속에 존재하는 지적 문명의 수를 구하는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