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d라이브러리
"
단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따르면 이와 비슷한 일은 우리 두뇌에서도 매일같이 일어나고 있다. 한 대학에서 5000
단어
분량의 대학 교과서 한 장(챕터) 전체와, 이를 5분의 1로 요약한 축약본을 실험자들에게 나눠주고 20분 뒤와 1년 뒤 시험을 봤다. 결과는 어땠을까. 전문을 다 공부한 학생보다 요약본만 본 학생이 더 이해도도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말이 나오면 일일이 사전이나 인터넷을 찾았다. 잘못 번역된
단어
를 찾아내는 일도 재미가 쏠쏠했다.“신기한 게 있으면 막 들떠서 부모님께 ‘이거 신기하지 않아? 이런 게 있는데…’하고 앞에서 강의를 했죠. 부모님은 제가 생물에 너무 빠져 있어서 몸이 상할까봐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한글점자에는 자음과 모음 외에도 약자라는 또 다른 점자가 있다. 자주 쓰는 글자나
단어
를 또 다른 점자로 만든 것이다. 약자는 왜 필요한 걸까?약자가 없어도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만으로도 글자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6개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자는 고작 자음 하나 또는 모음 하나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붙였다. 오리가미(origami)는 종이접기의 일본말로 영어에서 그대로 받아들여 쓰고 있는
단어
다. 종이접기는 2차원인 종이를 접어 3차원의 형상을 만드는 과정이다. 즉 재료를 접는 과정을 통해 차원이 늘어난 것이다. 과학자들이 DNA 오리가미란 말을 만든 것은 종이접기처럼 1차원인 DNA가닥을 가지고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밤에 졸릴 때 수학을 푸는 게 덜 졸린다면 수학공부를 하고, 힘들다면 단기 목표로 영어
단어
50개 외우기, 독해문제 5개 풀기 이런 식으로 계획을 세우는 게 좋지.”학습방법에 대한 책이나 노트 필기법 등 다양한 학습관련 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참고자료로 삼는 것은 좋지만 다른 사람에게 그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의식, 마음.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
다. 몸과 구별되는 비물질적인 존재면서도 우리 몸을 움직이는 주체다. 그렇다면 과연 정신은 어디에 있는 걸까. 오늘날에는 정신이 뇌의 활동으로 생긴다고 여기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뇌처럼 작동하는 인공 뇌를 만들면 거기에도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디가 좋아?”이야기를 이어가던 중 잠시 대답을 멈췄다.오빠가 좋은 이유? 사전 속
단어
처럼 깔끔하게 정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중 하나는 바로 오빠의 체취. 폭 안겨 있으면 맡을 수 있는 그 냄새는 오빠의 체온만큼이나 따뜻하다. 냄새가 주는 포근한 기분이 좋아서 오늘 입은 옷을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서로 맞춰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집에 돌아오는 내내 운명이라는
단어
가 귓가에서 울렸습니다.“과연 내게도 운명의 여인이 있는 걸까?”그렇게 믿는다면 마음은 좀 편안해지겠죠. 언젠가 나타날 거라는 기대를 안고 기다릴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만약 그런 상대가 없다면 소년은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는 컴퓨터로 뇌를 시뮬레이션하면 그만이었다. 사람은 정해진 문법 규칙을 이용해
단어
를 조합하고 문장을 만들어 말을 한다. 체스를 둘 때도 규칙에 따라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따져 보고 말을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 규칙을 컴퓨터 알고리듬으로 만들면 이런 기능을 흉내 낼 수 있다. 미래에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임 대표는 “발음이 좋지 않은 것은 혀가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혀를
단어
에 맞게 상하좌우로 부지런히 움직여야 정확한 발음에 다가갈 수 있다. 혀가 게으르면 오히려 말이 빨라지면서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혀 짧은 소리가 난다고 한다.혀를 부지런히 움직이는 방법으론 평소에 ‘혀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