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의 추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얼음이 여기에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1km3 크기의 순수한 얼음을 구하기 가장 쉬운 곳이
바로
남극이라는 것이다.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해법이다. 이후 관측소를 건설하기 위해 전 세계 12개국 53개 연구기관에서 온 과학자 300여 명이 아이스큐브 팀을 결성했다. 그리고 2010년, 남극점 인근 아문센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오스카 풍스트의 연구입니다. 한스는 다른 말과 달리 특별한 능력이 있었습니다.
바로
곱하기와 나누기 같은 간단한 산수를 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제곱근을 구하고, 특정 색의 물건 수나 음악 속 특정 음정의 수를 묻는 문제에 정확한 답을 내놓았던 것입니다. 인간이 질문을 던지면 한스는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돌아가 같은 방법으로 파쿠르 게임을 시작해 보세요. 이제 플레이어가 사망했을 때
바로
게임 시작 위치로 이동해 빠르게 게임에 다시 참여할 수 있어요. 잠깐! 플레이어가 시작 위치로 돌아가지 않아요!코드작성기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왔는지 확인해 보세요. 플레이어가 시작 위치로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이상한 얼음 행성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보고했습니다. “비상입니다! 용용이 사라졌어요.”“뭐라고? 온천에서 나오면
바로
얼어붙을 텐데?”“아무 흔적도 없이 감쪽같이 사라졌어요. 주변에는 이상한 구덩이가 몇 개 생겼고요.”“거기서 기다려. 우리가 간다.”딱지는 그 자리에 선 채로 덜덜 떨며 기다렸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 ...
[기획] 선거 당일, 반드시 투표해야 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닙니다. 승리를 확정 짓는 혹은 역전 가능하게 하는 비결은
바로
‘내 한 표’거든요. 선거 관련 뉴스에서 흔히 ‘지지층 결집’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어느 한쪽의 지지층이 똘똘 뭉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내가 지지하는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여유롭게 이기고 ... ...
[특집] 와 함께 렛츠 수학 파티!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수학 가사를 지어 보세요! (29쪽 참고) [수학 x 게임] 수학자와 함께 엔드 시티로! (☞
바로
가기)3월 8일 최수영 아주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과 함께 힘을 모아 마인크래프트 속 엔드 시티를 찾아봅시다! (33쪽 참고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등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향의 대중화 분위기에서 ‘근대 향수의 아버지’가 등장했다.
바로
자크 겔랑이다. 장 폴 겔랑, 에메 겔랑에 뒤이어 겔랑 가문의 세 번째 조향사다. 가문의 이름을 딴 겔랑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프랑스의 향수·화장품 브랜드로 1828년 향수 회사를 설립해 300여 개의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시민과학이 어린이를 성장시킨다는 걸 깨달았죠. 어린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활동이
바로
자연에서 현실감각을 익히는 것이라 생각해요. 지사탐을 통해 어린이들이 자연을 알게 되고 현실감각을 배우는 걸 목격했어요. 지사탐의 탐사대장으로서 정말 뿌듯하고 놀라울 따름이에요 ... ...
[통합과학 교과서] 시시포스의 마찰력 줄이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시시포스는 마찰력이 한껏 약해졌음을 느끼자 흥겹게 바위를 밀며 나아갔어요.
바로
그때, 하늘에서 벼락 같은 목소리가 들려옵니다.“꼼수를 부리면 쓰나, 시시포스!”모든 모습을 지켜보던 제우스가 길바닥과 시시포스의 돌을 원상복구 시켰어요.그 모습을 지켜보던 꿀록 탐정이 개코 조수에게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그리고 이때 밀려난 물(유체)의 무게만큼 물체는 위로 떠오르는 부력을 받지요. 이것이
바로
“유레카!”로 유명한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예요.부력의 크기는 유체에 잠긴 물체의 질량과 상관없이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무게에만 비례합니다. 그래서 풍선처럼 부피가 크고 가벼운 물체는 물에 잠겼을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