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8674(94)90256-9 결론은 세포질과 염색체의 비율이었습니다. 난자의 경우 염색체 수에 비해 세포질의 양이 너무 많아서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는지 스스로 점검할 수 없었던 겁니다. 하나의 큰 난자를 만들어내는 대가로 자연 유산의 빌미가 생긴다니, 참 아이러니한 생명 법칙입니다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에서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담긴 나노 입자는 ●잎살에 자리를 잡았고, 루시페라아제는 앞으로 잎살로 만들어질 세포에 들어 갔지요. 그 결과 루시페린과 루시페라아제가 잎살에서 만나 빛이 나기 시작했어요. 반대로 루시페라아제 저해제를 사용하면 불을 다시 끌 수도 있지요. ●잎살 : 잎의 표피와 잎맥을 제외한 나머지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 진출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보그’영화 ‘저스티스 리그’에는 몸의 절반은 사람, 나머지 절반은 기계인 사이보그가 등장해요. 주인공은 사고로 잃은 신체의 일부를 기계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피부 위에 3차원 나무 모양을 인쇄했다. 나무 가지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세포가 배치됐다. 특정 화학물질과 반응하면 가지에 불이 들어온다. 향후 실시간으로 화학물질 오염, 산성도(pH)나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응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패치에 ‘살아있는 문신’이란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교수는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와 같은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5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나를위한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푸른 빛을 쪼여주면 채널의 구조가 변하면서 뉴런 내부에 양이온이 쏟아져 들어옵니다. 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이죠. 이후 뇌의 활성을 유도하는 채널 로돕신과 정반대인 음이온을 유입해 뇌의 활성을 억제하는 이온채널인 ‘할로로돕신’ 역시 발견됐습니다. 연구자들은 이제 특정 뉴런을 자극했을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감각을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은 윤리적인 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장은 “기술적으로는 인간과 돼지의 혼종(키메라)을 만드는 일인 만큼 논란의 소지가 크다”며 “실제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뇌 부분은 제외한다는 등 관련 규정을 철저히 확립할 필요가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