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d라이브러리
"
소수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외계어는 독자적인 음운과 철자 체계가 없고, 형태소·품사·어순의 문법 체계는 전무한
소수
를 위한 말글이다. 언어의 문법 체계는 없고 단지 여기저기에서 가져온 언어적 요소를 조합했다는 얘기다.외계어는 다시 최근 신조어의 탄생으로 인해 그 위치를 위협받기 시작했다. 신조어 ‘아햏햏’ 와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K의 어떤 대수적 확대체 K’도 모두 K 자신과 일치하는 체를 말한다 즉, 실수체 k에 대해 복
소수
체 K는 k의 확대체로서,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다 대수학의 정리나 대수학의 방법(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및 거듭제곱근을 구하는 산법의 5연산을 유한회 시행하는 것)을 사용하여 해를 얻는 방법을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를 사용해 메시지를 암호문으로 만든다. 이렇게 한번 만들어진 암호문은 처음의
소수
를 알아야만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개발자들은 공개키 암호시스템의 보안성을 자신했다. 그래서 1977년 미 과학잡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자신들이 만든 1백29자릿수의 자연수를 소인수분해하면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탄젠트(正接) 정리가 증명된다자연로그 의 밑 e를 말한다 즉, 으로 정의된다 이것을
소수
로 표시하면 e=27182818284가 된다 이것은 무리수이며 초월수이다 사구체(絲毬體)의 병에 의해 전신에 부종(浮腫)이 생기고 심한 단백뇨(蛋白尿)·핍뇨(乏尿)를 초래하는 신질환(腎疾患) 곡선의 하나 신장형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갔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유통되는 정보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상황이 바뀐다. 극
소수
의 대가들이 생산하는 정보량만으로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데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좀더 많은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고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적합한 형태로 제시된 것이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돌아간다기계진동계에 작용하는 진동적인 힘과 그 진동속도의 힘 · 방향 · 성분의 비 복
소수
이다 기계적 변형이나 변화가 자극의 원인이 되어 생기는 감각의 총칭 촉각 · 압각(壓覺) · 평형감각 · 청각 및 운동 · 위치 그리고 힘의 감각 등이 포함된다 물질을 기계적으로 분쇄해 교질(膠質, colloid)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쉬지 않고 컴퓨터를 가동했다. 1996년 GIMPS를 제창한 조지 울트만은 “최초로 1천만 자리
소수
를 발견하는 사람에겐 10만달러의 상금을 준다”며 “누구나 GIMPS(http://mersenne.org)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람들이 지진을 느끼고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깨는 정도였다. 반면 서울에서는 진도 Ⅱ로
소수
의 사람들만이 느낄 수 있었다.그렇다면 역사에 기록된 한반도의 지진횟수는 얼마나 될까. 이 교수가 각종 문헌에서 수집한 지진기록은 서기 2년 고구려 유리왕 21년에 있었던 지진(삼국사기)을 시작으로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매사추세츠공대, 하버드대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아직은
소수
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이 중 세계 최고의 기술을 자랑하는 존스홉킨스대에서는 인공망막 칩을 맹인의 눈에 이식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연구가 한창이다. 아직까지는 간단한 문자와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원추꽃차례다. 이렇다보니 정확한 꽃의 형태를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세밀화를 보니
소수
(小穗)라고 부르는 강아지풀의 꽃이 잘 묘사돼 있다.그 옆에는 딸기 비슷한 식물 그림이 있다. 가까이 가서 보니 ‘뱀딸기’라고 써있다. 줄기가 땅을 기면서 길게 뻗고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는 식물의 특성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