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밝혀졌다. 다음번 행성직렬 현상은 2438년 4월에 일어날 예정이다.행성직렬 현상은 동아시아의 전통천문학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취급됐다. 전통시대에는 이를 ‘오성취합’(五星聚合)이라고 불렀는데, 왕조의 흥망이나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징조로 여겼다. 중국에서 진나라가 망하고 한나라가 설 ...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병사들의 방탄조끼나 낙하산을 만드는데 주로 쓰였어. 당시 낙하산을 만들기 위해 아시아에서 수입되던 실크는 값이 비싸고 양도 한정돼있었거든. 실크로 된 낙하산이라니 정말 아까워서못쓸것같지?98%는 공기로 만든 발포폴리스티렌 어느 집이건 유난히 겉도는 자식이 있듯 발포폴리스티렌이 내겐 ...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과학동아 l2007년 12호
- 급속히 성장했고 빠르게 전세계로 확산됐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방송 MO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국내에도 방영 중인 ‘아메리칸 아이돌’(American Idol)이다. 시청자의 투표로 스타를 발굴하는 프로그램으로 2007년 상반기에만 ...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말하기도 한다 몬순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몬순은 여름(따뜻한 남동풍)과 겨울(차가운 북서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간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장마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데나타 교수팀은 젖산분해효소 유전자의 활성도를 세계지도에 표시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지역과 몽골지역민이 우유를 잘 소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몽골이 좋은 예다. 몽골인은 아침에 일어나면 ‘수태차’라는 차를 만드는 일로 하루를 시작한다. 수태차는 우유와 약초, 따뜻한 물을 섞어 ...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쇠가마우지 등이 알려져 있다 바다가마우지는 그냥 가마우지라고도 하는데, 아시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이 되면 남쪽으로 건너가며, 해안의 절벽에 둥지를 만든다공기속에 있는 질소를 원료로 하여 암모니아·황산암모늄·질산 등 질소화합물을 만드는 일 공기질산법, 합성암모니아법, ...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주변 바다는 사실 태풍이 태어나는 곳이다. 바다의 수증기를 먹고 자란 태풍이 동아시아로 올라오면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지고 보면 이 지역의 기후가 한반도의 날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셈이다.한반도 연안의 수온변화도 이 지역 주변 환경과 연관됐다는 게 ...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위도는 지구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기초적인 정보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이 공유하는 동아시아 전통천문학에서는 17세기 이전까지 땅이 둥글다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경위도의 개념을 어떻게 정립할 수가 있었을까.지구상에서 위도는 그곳의 지평선에서 북극이 올라와 있는 각도(북극고도)와 같다. ...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스타시티에서 함께 훈련을 받은 한국 우주인 후보를 평가한다면?스타시티에서 같은 아시아인과 훈련받아 정말 기쁘다.지난 6개월 동안 함께 지낸 한국우주인 후보들은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다. 두 사람 중 특히 이소연 씨와 친하다.우주인 프로그램이 끝나면 그를 만나러 한국에 갈 생각이다.그는 ...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원료다.정보성그래픽 부문_1등 박쥐의 비행데이비드 윌리스 외 6인 | 미국 브라운대동남아시아 정글에는 밤마다 몸무게가 50g도 안 되는 작은 과일박쥐(Cynopterus brachyotis)가 날아다닌다. 그런데 이 조그만 생명체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공기역학 연구자들은 과일박쥐가 공기의 흐름을 어떻게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