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존 해리슨은 런던의 경도심사국을 찾아가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를 만나면서 간편하고 정밀한 시계의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았다. 이윽고 1735년 그는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시계인 ‘해리슨 1호’(H1)를 제작했다.‘H1’은 포츠머스항에서 리스본으로 가는 영국 군함 센추리언 ...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과학동아 l2006년 11호
- 필기시험을 마치고나니 블랙홀 속에서 길을 잃은 것 같았다. 다음은 정밀신체검사. 검사장에서는 역삼각형 몸매를 자랑하는 군인부터 목에 깁스를 하고 온 의사까지 모두 우주를 향한 열의를 불태웠다. 힘차게 소변검사에 임했고 눈을 부릅떠 시력검사판을 읽었으며 심장을 고동쳐 혈액검사에 ... ...
- 태풍 잡는 레이더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자기장을 걸어 원자의 속도를 훨씬 느리게, 즉 온도를 많이 낮췄다. 이 기술은 아주 정밀한 원자시계를 만드는 일에서부터 원자레이저와 같은 새로운 양자장치를 개발하는데까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과학동아 l2006년 11호
- · 다이스 · 비트 · 톱 · 유리칼 등의 다이아몬드 공구를 생산하는 부문이다오늘날 정밀공업 · 전자공업 등과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얼음의 미세한 결정이 공중에 무수히 부유하는 현상 본체는 바늘 · 각기둥 · 평판 등의 모양을 한 미세한 얼음이다 영하 10℃ 이하의 저온에서 발생하며 ...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지금의 천체망원경은 사람의 눈보다 훨씬 뛰어나다. 하지만 망원경이 발명되던 초기에는 망원경의 성능이 그리 좋지 못했고 맨눈 관측의 달인도 있었다. 사람의 눈과 ... 자취는 밤하늘 곳곳에 뚜렷하게 남아있다.육분의, 사분의 : 하늘에서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해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과학동아 l2006년 11호
- 핵실험을 했다고 결론지었지만, 지진파 진도로 보면 제대로 폭발하지 않았는지, 아니면 정밀한 기술로 폭발을 차단했는지는 알 수 없다. 게다가 핵실험의 목적이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한 실험이라기보다 정치적인 이유가 많아 실험의 진위를 판가름하기는 더 어렵다.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수많은 ...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06년 11호
- 받았다. 그가 1968년 개발한 ‘다중선 챔버’는 당시 실험장비를 혁신적으로 개선해 정밀도를 높인 장비였다. 그뒤 참 쿼크, W입자, Z입자 같은 새로운 소립자를 발견하는데 결정적 공헌을 했다.샤르파크 박사가 노벨상을 받았을 때의 나이가 68세였으니까 그뒤 왕성한 연구를 기대하기는 무리였을지 ... ...
- 우주 날씨에 영향 미치는 폭풍우과학동아 l2006년 10호
- 것도 있다)으로 이루어진 열전기쌍 열기전력(熱起電力)이 크고 값이 싸다 300℃ 이하를 정밀 측정 하는데 사용되지만 200℃ 이상에서는 콘스탄탄이 다소 불안정해진다 구리 쪽이 양이다 단백질 정량법(定量法)의 하나 폴린-로리법이라고도 한다 단백질을 함유한 시료에 황산구리, 시트르산나트륨을 ...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작은 레이저는 지름 3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분의 1m)의 다이오드 레이저다. 하지만 고정밀 전자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광원으로 쓰기에는 너무 크다. 김 교수의 목표는 레이저의 크기를 수십μm 이하로 만드는 것이다.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보일 정도다. 이렇게 작은 레이저가 개발돼야 나노크기 ...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않고 순식간에 무력화시킴.한국형 전투기(KFX)개발 2020년 예정특징 초음속 운항과 정밀타격 미사일, 레이더에 잡히지 않도록 하는 최첨단 스텔스 기술 적용.▼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한반도 지키는 첨단 국방기술 2. 디지털 솔저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4. 총성 없는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