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한 뒤, 사람이 터치를 하면 유리에 흐르던 전기가 손으로 흘러 전기의 흐름이 변한
지점
을 알아채는 기술이랍니다. 튼튼하고 화면이 선명하지만 장갑이나 손톱처럼 전기가 흐르지 않는 물체는 인식하지 못하고, 크게 만들기 힘들어요.적외선 방식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적외선을 흐르게 하고,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뢰 부품이 선체에 남은 흔적과 성분이 같고 천안함 선미가 인양된 곳에서 30m 떨어진
지점
에서 발견됐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물증이다. 그러나 이는 정황 증거라는 점에서 아직 한계가 있다. 게다가 육지에서 발생한 폭발은 현장에 물증이 고스란히 남지만 시시각각 조류가 달라지는 바다는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떤 팀이 우승할지 예상하기가 특히 어렵다고 말한다. 완벽한 구형에 가까워 목표
지점
까지 정확히 도달한다는 평을 받는 자블라니와 대부분의 국가 대표팀을 긴장하게 만드는 고지대만의 특성 덕분이다. 어느 대표팀이 이번 월드컵의 ‘특별한 환경’에 가장 훌륭하게 적응하는지 비교해 보는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하늘 위의 도시 마추픽추에 오르다!마추픽추는 옛 잉카의 신전 유적으로, 해발 2430m
지점
에 위치해 있어요. 높은 지역에 있기 때문에 위험해서 하루에 400명밖에 들어가지 못해요. 아빠와 저는 새벽 4시에 일어나 거의 달리다시피 해서 겨우 입장할 수 있었지요. 줄이 어마어마하게 길었으니 아마 입장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수 있다.비행기나 로켓에 들어 있는 자이로스코프도 자이로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목표
지점
을 향해 로켓이 바로 날아가고 있는지 로켓의 각도를 계산해 컴퓨터로 자세를 바로잡는 식이다. 멀리 던지는 포물선주말 프로야구 경기장에는 야구 말고도 즐거운 볼거리가 있다. 경기 시작을 알리는 ... ...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곳과 작은 곳의 차이가 1%에 불과하다. 공이 둥글수록 날아가는 동안 균형을 유지해 목표
지점
으로 정확히 날아간다.축구공은 앞으로도 더욱 둥글어질 것이다. 점점 구에 가까워지는 축구공이 얼마나 더 예측 불가능하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만들지 지켜보자.이번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은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않고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높은
지점
에서 최대한의 가속도를 얻은 뒤 낮은
지점
에서는 관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직선, 원, 사이클로이드 모양으로 만든 세 가지 미끄럼틀에 공을 굴린다고 하면 공은 사이클로이드, 원, 직선의 순으로 바닥에 도착한다. 마찬가지로 롤러코스터를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용을 빌려온 것이다. 해리포터가 호그와트로 들어가는 보이지 않는 출발
지점
‘플랫폼 9와 4분의 3’을 한 예로 든 것이다. 그가 아마도 이 플랫폼은 메타물질로 돼 있을 것이라는 농담을 던지자 발표를 지켜보던 사람들은 모두 한바탕 웃었다. 실제로 그는 이론상 메타물질이 물체를 사라지게 할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속 움직이기도 했다. 이런 경우 전쟁이 일어나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목표
지점
에 미사일을 보낼 수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법이 GPS 기술이다.먼저 지상 2만km 정도의 중간 궤도에 인공위성을 24개 정도 쏘아 올린다. 위성중계에 쓰이며 고도 약 3만 6000km를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할 수 있고 이 빛의 세기는 당시 존재하던 어떤 빛보다 강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작은
지점
에 모인 빛은 태양 표면보다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딱딱한 물체에 구멍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늘날의 레이저 빔 장치의 원형인 셈이다. 1959년 6월 미시간대에서 열린 광학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