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넣은 모양입니다. 치사하게도 소수의 ‘셀럽 VIP’에게만 선물했죠. 긱블은 이 오락기를 직접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Power LED로 강렬한 눈빛 장착 이번에 만들 오징어 게임 오락기는 단순히 예쁜 무언가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무려 알람시계라는 기능을 갖췄죠. 오락기의 버튼 세 개가 각각 5초, 30분, ...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여성과학자는 저 밖에 없었다”며 “20여 년이 흐른 지금도 한국에서 위성체와 탑재체를 직접 제작하는 여성 과학자는 저뿐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남들보다 2~3배 노력해 성과를 냈다. 위성 제작은 오케스트라처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 ...
- [과동프렌즈] 함께 단단히 성장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반 친구들과 함께 팀을 이뤄 참가한 성과였다. 김 군은 “납땜, 조립, 프로그래밍 모두 직접 해가며 캔위성을 만들어 쏘아 올린 다음 위성이 낙하하면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는 대회”라며 “불법 어선을 탐지하는 위성을 만들었는데, 프로그래밍 부분이 내 담당이었다”고 했다. “프로그래머의 ... ...
- [기획] 하수도2 미량 오염물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약은 화학 물질입니다. 하수를 통해 강이나 바다 등 자연으로 흘러들어가면, 생물들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칠 수 있어요. 특히 화학 물질은 먹이 연쇄 과정을 통해 포식자로 이동하며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되는 ‘생물농축’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탓에 상위 포식자인 인간의 몸에는 높은 농도의 ... ...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줌’을 써야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덧붙였어요. 광학 줌이란 렌즈의 초점거리가 직접 변하며 사물을 확대하는 줌 기능을 말해요. 반면에 디지털 줌은 렌즈를 통해 이미 들어온 화상을 그대로 확대하는 방식이라 사진의 선명도가 떨어지지요. 그럼 곤충과 동물 사진을 잘 찍는 꿀팁은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풍력 발전기가 달린 건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풍력발전 글라이더 만들기 키트를 이용하면 풍력 발전기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만든 전기로 글라이더도 날릴 수 있어요.우선 키트에 들어 있는 부품을 조립해 풍력 발전기를 만들어 봅시다. 방향을 잘 맞춰 날개를 조립한 후, 터빈을 기둥에 꽂아 세우면 풍력 발전기 완성! 강한 바람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로봇 없어! 힝~. 안 되겠다! 이왕이면 귀엽고 물건도 들어줄 수 있는 나만의 반려 로봇을 직접 만들어 보겠어! 만들어 보자!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보행 로봇보행 로봇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처럼 다리로 지면을 딛고 걸어가는 로봇이에요. 이번 메이커에서 만드는 로봇은 크게 이동하는 부분인 ... ...
- [에디터노트] 2021 결산 어워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무게의 진실’. 재미있기도 하고 쓸데없기도 한, 누구나 한 번쯤은 궁금했을 법한 내용을 직접 취재해 봤어.이명희 디자이너 패션 화보 콘셉트에 처음 도전해 본 ‘비건 패션’. 코디 역할도 재밌었어. ‘안녕, 플라스틱’도 사진 소스를 만들고 촬영한 경험이 재밌었어.편 모두 소중한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김책공대에 입학하면 그 안에서 수재반을 따로 운영할 정도다(Part2 '평양의과학도에게직접들어봤습니다' 인터뷰 참조). 이렇게 교육받은 인재들은 국제적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인도에서 개최하는 국제 프로그램 경연대회인 ‘코드쉐프’에서 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가 몇 년째 주거니 받거니 ... ...
- 업스케일링, 필름복원, 디지털화...마스터피스 되살린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키우기 위해선 픽셀 사이를 적절한 색으로 채워 넣어야 한다. 이 색을 사람이 결정해 직접 칠한다.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최근접 이웃 보간법’과 ‘차회선 보간법’이다. 최근접 이웃 보간법은 인접 화소의 색상을 그대로 붙여넣는 방법이고, 차회선 보간법은 평균적인 색상을 입히는 방식이다.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